하반기 경제전망에 대한 논란이 시작되고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성장률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기업쪽에서는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치 상으로 나타난 연간경제성장률은 한은쪽이 6.5%, 한국경제연구원이 5.9%다. 당연히 따라붙는 논란이 경기 과열, 거시경제정책의 긴축 전환, 물가 상승 여부 등에 관한 것이다.

 한은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의 5.7%에서 6.5%로 0.8% 포인트나 대폭 올려잡은 것은 미국 등 주요국의 경제성장률이 3% 안팎으로 양호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반기에 성장을 주도한 내수 대신에 하반기에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주가.환율.금리 등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완전히 가시지는 않았다고 보는 듯하다.

 반면 민간의 입장은 걱정이 더 앞서는 편이다. 원화 절상이나 미국의 경기 회복,하반기의 임금 협상, 물가 상승 압력, 여행수지 적자 폭의 확대 등에 대해 훨씬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이들 요인이 자체적인 부정적 효과와 함께 기업의 안정성을 흔들고 순조로운 경제성장을 가로막을 위험이 크다는 게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비롯한 민간 쪽의 시각이다.

 경기 전망 및 경제정책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이런 입장 차이는 사실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며 처한 위치에 따라 시각이 달라지는 것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이런 때에 중요한 변수는 민간 부문에서도 경제단체나 기업주가 아닌 진짜 민간의 역할일 것이다. 정책이 다소 빗나가도, 기업의 경영이 다소 불안해도, 가계가 탄탄하고 근로자의 성실성과 근면성이 뒷받침 되는 경우는 경제의 기본이 웬만해선 흔들리지 않는다. 이 기본은 안정된 정치, 사회의 바탕 위에서만 가능하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의 분위기는 어떤가. 월드컵의 흥분이 아직 가시지 않아 일손이 제대로 돌아오지도 않은 상태에서 서해교전이 터지며 엉뚱한 내부의 논란으로 확산됐고, 정치권은 또다시 경제 훼손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경제도 4강으로 가자는 구호가 이곳 저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안정된 분위기 속에 경제 주체 모두가 차분하게 생업에 열중하는 것이 내실있는 경제성장을 이루는 첩경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명심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