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률이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한은은 올 2분기 총저축률이 27.5%로 82년 이후 20년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저축률이 떨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분기중 소득은 6.2% 늘어났는데 소비지출은 11.1%나 증가했으니 저축률은 떨어질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저축률 감소가 당장은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언젠가를 우리경제를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은 뻔한 이치다.

 이렇게 저축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것은 그만큼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경제규모가 커지고 있는데서 오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수도 있다. 또한 그동안 저금리기조가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저축률이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데 있다. 총저축률이 88년 40.5%로 최고수준을 기록했다가 해마다 떨어지면서 지난해에는 83년의 29.0% 이후 처음으로 30%대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경제가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가지 원인을 들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국민들의 근검절약 정신을 들수 있다. 어려울수록 아끼고 절약해 내일을 기약했다. 우리경제가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그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결정적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일부 지각없는 사람들의 흥청망청하는 소비행태가 우리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우리경제를 어렵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빚을 내서라도 쓰고 보자는 식의 대책없는 사람들과 가정이 결국 국가사회에까지 빚을 지우게 하는 것이다. 여기다 부동산 투기가 극성을 부리고 한탕주의가 만연하면서 저축증대는 더욱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결국 가계부채의 급증으로 직결되고 있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0.44로 미국의 0.15보다 높았다. 또한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지난해 0.9%에서 올 7월말에는 1.5%로 2배 가까이 높아졌다. 그리고 여기다 신용카드 연체율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이제 서둘러 경제안정대책을 세우고 다각적인 저축증대 방안을 강구하지 않으면 우리경제의 앞날은 암담 할 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