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현실은 새삼 설명할 필요가 없는 사항이겠다. 세계무역기구(WTO)를 중심으로 ‘지구촌 한 시장’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전개되는 것도 새삼스런 얘기가 아니다. 이런 현실과 흐름을 외면 할 경우 우리 경제도 북한의 경우처럼 자칫 한 순간에 나락으로 빠져들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경제계의 시각이다. 대선을 전후, 이런 걱정이 점증해온 가운데 새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에 대해 국내 기업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자들도 적지 않은 궁금증을 보여왔다.

 그런 점에서 17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주한 미국.유럽연합(EU) 상공회의소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정책 설명회는 우선 시기적으로 알맞은 선택이었다고 평가할 만하다. 지난 몇 주 동안은 재벌정책 등에 관한 인수위 관계자들의 조율되지 않은 목소리가 언론에 경쟁적으로 보도되면서 정책 기조의 급격한 변경 여부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돼온 기간이었다.

 이런 시점에서 당선자가 직접 경제정책방향을 설명함으로써 외국인들로서는 일단 새 정부의 ‘실체’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외국인들이 새 정부에 대해 느끼는 막연한 불안감이 내국인들보다 훨씬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곧 대통령직에 오를 사람이 시장 질서를 더욱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한 셈이니 대표적 자본주의 국가들의 기업인들이 안심할 것은 당연한 이치다. 특히 노동의 유연성에 관한 언급은 국내외 기업 모두의 구미를 당길만한 것이 아니겠는가.

 노당선자의 이번 발언은 선거전 후보 입장에서 약속 했던 각종 공약들과는 그 무게가 크게 차이나는 것일 수밖에 없다. 곧 국정최고책임자의 자리에 오를 위치에서 한 말이기 때문이다. 국내외 기업인들도 그래서 새 정부 경제정책에 더욱 신뢰감을 갖게 됐을 것이지만, 그러나 그런 신뢰를 지속적으로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일관되게 실천하는 모습이 뒷받침 돼야만 한다. 실천은 당연히 시장질서를 존중하고 글로벌 스탠더드를 적용하는 각종 정책을 통해 구현돼야 하며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바로 바로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