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총 파업이 현실로 나타났다. 이번 파업에는 울산에서도 영남화학과 울산화학 등이 동참했다. 울산의 경우 서울로 가는 새마을 열차와 우등 열차가 출발하지 않아 일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또 화물 열차가 울산에 오지 않아 화물이 도착하지 않았고 우편물이 배달되지 않았지만 시민들의 일상생활에는 큰 불편은 없었다. 그러나 이번 파업은 협상 타결을 기대했던 국민들에게는 충격이고 실망스러운 일이었다. 철도 파업으로 수도권 전철이 정상 운행되지 못해 출근길 교통대란이 벌어지는 등 서울 시민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정부와 해당 기업들이 대체인력을 동원, 비상조치를 취했지만 시민들의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공기업 노조의 동시 파업은 민영화 반대가 가장 큰 원인이다. 근로조건 개선 등을 표면적인 쟁점으로 내세웠지만 내면은 민영화 저지였다. 지난해 가을부터 민영화 반대 공동투쟁본부를 조직, 가동한 것이 단적인 증거다. 그러나 철도 등의 민영화는 정부가 이미 관련법을 국회에 넘겼기때문에 민영화가 노사협상의 대상이 될수 없다는 것은 그들도 잘 안다. 정부가 노조의 직접협상 요구를 거부하며 강경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간산업 민영화는 역대 정권이 오랜 세월 논의했던 해묵은 과제이다. 찬반 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공기업의 적자 탈피와 경영혁신을 위해서는 민영화로 가야한다는 것이 사회 중론이었다. 지금 노조가 민영화문제를 제기하고 파업으로 까지 몰고가는 것이 억지로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절차와 타당성에서 문제가 있고 공감을 얻기 어렵다.

 더욱이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세계 각국이 지켜보고 있는 시점에 우리사회가 혼란에 빠진다면 누구에게 득이 될 것인가. 그렇지 않아도 기회있을 때 마다 한국노조의 강성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꼬집는 국제사회에서는 또 무엇이라고 할 것인가. 겨우 회복 기미를 찾고 있는 우리 경제에 노조의 총파업이 미칠 부작용과 폐해는 클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노조가 극한적인 수단에만 매달리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어떤 일이 있어도 파업사태가 장기화해서는 안된다. 노조가 파업을 하면서도 협상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하니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와 노력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