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지진 발생지는 경주이지만 울산에서도 그 파장이 매우 크다. 건물 파손 등의 실질적인 피해는 물론이고 심리적 불안감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 경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울주군 두서면 내와마을에서는 사회복지시설과 건축물 14곳이 위험한 것으로 파악돼 출입이 통제되면서 이재민도 발생했다. 이들 지역주민들 뿐 아니라 시민 모두가 여전히 놀란 가슴을 추스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 13일 정상수업을 했던 학교들은 조그만 소음에도 학생들이 불안감을 드러냄으로써 수업을 이어가기 어려웠다고 한다. 특히 울산은 지난 7월5일 5.0 규모의 지진을 경험하면서 지진공포가 확산돼 있는데다 원전과 석유화학단지를 끼고 있는 도시인지라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번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오후 7시44분 5.1 규모, 오후 8시32분 5.8규모로 그 파장이 서울까지 전달됐다고 한다. 경주시로부터 남남서쪽 9㎞ 지점에서 발생한 내륙형 지진이었기 때문에 피해가 컸다.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주에서는 인명피해 48명, 재산피해 4400여건, 문화재 피해 60건이 발생했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여실히 확인된 셈이다. 삼국시대 이후 피해를 수반한 지진이 수십회 이상 발생했다. 다만 20세기 들어 빈도와 규모가 줄어들면서 방심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규모 7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진전문가들도 견해를 달리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진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특히 원전과 석유화학산업이 집중돼 있는 울산은 전국 어느 도시 보다 강력한 지진대책이 필요하다. 울산 인근엔 가동 중인 원전만 10기에 이른다. 그나마 원전은 하부 지하 10㎞에서 규모 6.5~7.0의 지진이 발생할 것을 가정해 내진설계를 했다. 규모 7.0 이상의 지진을 고려한 내진 보강이 필요하다. 반면 국내 내진설계 기준이 마련되기 전인 1970년대에 준공된 석유화학단지는 각 공장별로 내진 보강을 해왔다고는 하지만 불안감이 매우 높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산업통상자원부가 국가공단의 지하 매설 배관에 대한 정밀성 검사를 실시하는 등 안전진단을 한다고 한다. 울산시도 지진 대비책 마련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공공시설의 내진 보강을 계획보다 15년 앞당겨 2025년 조기완료하기로 하고 지진 안내 시스템도 개선하기로 했다.

그 어떤 대책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이고, 불안감 해소의 가장 좋은 방법은 정보 공유다. 우선 진앙지인 울산 인근 활성단층대에 대한 정확한 지질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그에 앞서 분포도를 확보해 공개해야 한다. 또한 시민불안의 근원지인 국가공단과 원전 등 주요 국가시설을 비롯해 공공시설물들의 내진설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시민들이 알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석유화학단지와 원전사고 발생에 대비해 대피시설은 물론이고 대피로 확보에도 관심을 쏟아야 하고 그 정확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열람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지진과 관련된 과장된 정보와 괴담이 난무하고 있다. 정확한 정보 공개는 신뢰를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김기현 시장이 “지진에 대해 새로운 눈으로 보고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듯이 지진방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