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을 싣고 울산을 오가던 대형 트레일러의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석유화학공단에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수시로 발생해 불안감을 안고 있는 울산시민들에게 이들 대형 트레일러는 ‘도로 위 화약고’나 다름없다. 정부는 수년전부터 화학물질 수송차량에 대한 위치정보 시스템(GPS)을 갖추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하세월이다. 게다가 정부가 추진하는 시스템이 가동된다고 하더라도 사업자와 운전자에 대한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울산에서는 지난달 30일과 1일 화학물질을 싣고 가던 차량이 사고를 냈다. 30일 액상 라텍스를 실은 트레일러가 울주군 온산읍 신일반산업단지의 한 도로에서 중앙분리대를 받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상에 유출된 액상 라텍스가 응고되는 바람에 수거가 용이했지만 심각한 해상오염이 일어날 뻔했다. 또 1일에는 온산읍 당월로에서 유황 이송 탱크로리 차량이 잠금장치가 느슨해져 유황이 분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고체상태에 있어 폭발하지는 않았으나 자칫 마찰이나 충격에 폭발할 수도 있는 아찔한 사고였다.

이처럼 화학물질을 실은 수송차량으로 인한 사고는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의 도심 도로 진입을 제한하고 있으나 울산은 도로사정상 석유화학공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도심도로를 지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그 위험이 매우 크다. 정부는 지난 2014년 위험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을 실시간 추적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5년 상반기 중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여전히 시스템 개발이나 관련법 제정이 완료되지 않고 있다.

사실상 GPS가 구축된다고 해도 큰 효율성이 기대되는 것은 아니다. 수송차량의 위치를 파악해 상수도보호구역이나 도심도로로 진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누출사고가 인명사고로 이어지지 않게 하겠다는 것이지만 울산의 경우 도심도로 진입 없이 공장으로 들어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대부분의 사고가 사업자와 운전자의 주의 부족과 운전 미숙에 따른 사고이므로 GPS를 통한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울산에서 지난 이틀간 발생한 사고도 GPS로 관리가 될 수는 없는 사고이다. 사업자와 운전자의 안전수칙 준수에 대한 철저한 관리 감독과 엄격한 처벌 없이 도로를 달리는 화약고를 막기는 어려워 보인다. 시민들의 안전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GPS 구축과 관련법 제정에 수년이 걸리는 정부도 문제이지만 그 방법을 GPS 구축에만 기대고 있는 것은 더 심각한 문제인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