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지난 7일 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에서 “홍수조절용으로 추진되고 있는 함양 문정댐(일명 지리산댐)을 다목적댐으로 전환해 46만t을 부산과 울산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홍수조절용으로는 저수량 6700만t이면 되지만 부산·울산에 물공급을 위해 1억7000만t으로 늘리겠다는 설명이다. 문정댐 개발에 대해서는 경남도내에서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반대 여론이 만만찮다. 그런데 난데없이 부산·울산에 1급수 공급을 위한 일이라니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올만 하다.

울산으로서도 황당하기는 마찬가지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관련해 맑은 물 공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울산이지만 경남도의 이같은 방침을 단순한 호의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은 경남도의 계획 때문에 울산의 맑은물 공급 정책에 오히려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경남도의 계획을 차분하게 들여다보면 문정댐 개발이 언제 가능할 지 알수가 없다. 더구나 홍수조절용이라고 해도 주민동의를 얻기가 쉽지 않은데 부산·울산 물공급을 목적으로 한다는게 가능한 일이겠는가.

경남도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자. 지난 9월 새롭게 수립한 경남도의 식수원정책은 2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1단계는 현재 하루 63만6000t 규모인 낙동강 취수 원수를 대체하기 위해 합천 조정지댐(50만t)과 중·소규모댐(20만t)을 개발해 창원·김해·양산·함안 등에 공급하고, 양산·의령·산청·함양·거창 등 5개 시·군은 소규모댐(43t)으로, 거제·고성·남해·하동 등은 보조 식수원(15만t)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1단계 계획에서 부족분이 발생하면 2단계로 문정댐을 다목적댐으로 확대하면서 저수량을 늘려 부산·울산에도 공급해 원수사용료와 전기발전이익을 얻겠다는 것이다. 계획은 거창하지만 “백년을 내다보는 계획”이라는 그들의 말대로 2단계는 언제 현실화될지 알수 없는 ‘종이 위의 계획’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경남도의 이같은 계획 발표가 사전에 울산시와 교감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그렇다고 ‘강 건너 불 구경’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자칫 울산의 맑은물 공급계획이 세워진 것처럼 포장돼 울산시가 정부에 요청하고 있는 운문댐 물 공급을 불필요한 일로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경남도의 계획이 얼마나 실현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해 분명한 공식입장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경남도의 이같은 발표가 울산으로서는 난데없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경남도의 식수원정책이 부럽기도 하다. 경남도는 올해초부터 낙동강 녹조 심화로 1급수를 먹기 힘든 주민을 위해 백년을 내다보고 식수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연장선상에서 재난안전건설본부 하천과를 수자원정책과로 변경하고 식수댐개발담당을 신설한다는 방침을 도의회에 제출해놓고 있다. 낙동강물 의존도가 높은데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조절안이 제기되고 있는 울산도 맑은물 공급을 위한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정책개발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