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 구미시로 이전하는 문제를 두고 16일 개최한 민관협의회는 공동건의문을 만들어 정부(국무총리실 환경부 국토교통부)에 전달하기로 합의했다. 건의문에는 ‘낙동강 수계 수질 보전대책’을 위해 8개 항목의 환경조사 요구를 담았다. 구미시의 반발로 잠정중단돼 있던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우리가 이 건의문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울산의 맑은 물 공급 대책이 대구 취수원 이전과 긴밀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운문댐 조성 당시 물 배분 계획에 따르면 대구시에 하루 최대 30만t이 배정돼 있다. 현재 계약용량은 20만2000t이며 실질적인 하루 사용량은 18만6000t(2014년 평균)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의 ‘울산권 맑은물 공급계획’은 총사업비 2207억원을 들여 대암댐을 식수전용댐으로 전환해 하루 5만t을 확보하고 운문댐에서 하루 7만t을 공급하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런데 이는 대구시의 낙동강물 취수원을 구미시 상류로 이전하는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 계획’이 해결돼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려 있는데, 그동안 진척이 없었던 것이다.

대구·구미 민관협의회의 대정부 공동건의문이 전달되는 것과 때를 같이해 울산의 맑은물 공급대책도 함께 건의돼야 한다. 낙동강 수계에 있는 자치단체가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낙동강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반면 낙동강 수계에 있지 않은 울산시는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낙동강물 의존도를 더 높이라는 압박만 받아서야 되겠는가. 대체 수원 없이 댐수위를 낮추게 되면 울산은 지금도 12~27%에 이르는 낙동강물 의존도를 더 높여야 한다. 때문에 물길을 돌리는 제방 설치 등의 대안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상 대구시의 운문댐물 공급량을 보면 취수원 이전과 상관없이 남아도는 운문댐 물을 우선적으로 울산에 공급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국가는 어느 지역에 있건, 모든 국민들이 생명과 다름없는 맑은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해줄 책임이 있다.

물문제는 지역별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풀어야 하며, 총선이 치러진 올해는 물문제를 논의하기에 적기다. 선거가 닥치면 표를 의식한 정치권이 한발 뒤로 물러서지 않을 수 없다고 보면 대구·구미시의 대정부 건의문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지역 정치권과 울산시도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운문댐 물의 조기공급을 공식적으로 건의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맑은물 공급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