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9일 공개한 국정역사교과서의 현장검토본을 두고 논란이 많다. 학교의 채택 여부는 차치하고, 내용수정(80건)과 오·탈자(7건), 비문(4건) 등에 대한 의견이 하루만에 342건이나 접수됐다. 특히 각 지역별로 지역사와 관련해서 잘못 기술되거나 지역에 관한 오해를 유발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발도 일어나고 있다. 제주에서는 4·3과 관련해 역사를 축소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역사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이 요구되므로 점진적으로 의견 피력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과 관련된 내용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강길부 의원은 29일 “울산의 산업화 부분과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부분을 잘못 이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교과서 내용을 보면 중학교 역사 1권 32쪽에 ‘청동기의 사용으로 나타난 사회변화는 무엇일까’라는 단락에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에는 고래 사슴 호랑이 등이 그려져 있는데 이를 통해 사냥의 성공과 풍요를 기원하는 당시 사람들의 신앙을 엿볼 수 있다’고 적혀 있다. 이와함께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 각석의 사진을 실으면서 사진설명을 통해 ‘신석기시대부터 지속적으로 그림이 새겨진 것’이라고 돼 있어 문제를 피해가고 있다. 고등학교 교과서 역시 ‘청동기시대의 생활’편에 비슷한 내용을 담았다. 반구대 암각화 사진에 신석기시대로 보는 견해도 있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천전리 각석 사진 대신 검단리 환호유적을 싣고 있다.

“반구대 암각화가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라고 확정하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강 의원의 지적에는 충분한 일리가 있다. 다수의 학자들이 반구대 암각화 제작시기를 신석기시대로 올려 잡고 있는데다 문화재청 홈페이지도 신석기시대로 적고 있다. 더구나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는 유물의 조성시기를 일부러 늦추어 잡을 이유는 없다. 또 암각화 제작 이유를 ‘신앙’이라고 확정한 것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

또 고등학교 교과서 267쪽 ‘중화학공업의 육성’이라는 단락에서는 공업도시로서 급성장하며 우리나라 근대화를 이끈 울산에 대해 긍정적인 언급은 전혀 없다. 반면 269쪽 ‘산업재해와 환경문제’ 단락에서 ‘온산에서 일어난 공해병의 집단 발병사태는 공해물질의 배출로 지역 주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힌 대표적인 사건’이라고 중요하게 다루면서 울산의 공단사진을 싣고 있다. 이에 대해 강 의원은 “산업화 부분에서는 포항을 중심으로 기술, 울산의 역할을 축소한 반면 오히려 여전히 공해도시라는 잘못된 인식만 심어주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산업과 과정의 문제점을 예시한 것이므로 틀렸다고 할 수는 없으나 공해도시를 극복한 오늘날에 대한 설명이 없어 도시이미지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 이의 제기를 통해 대안모색을 해볼 필요는 충분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