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전에 없던 자연재해 발생이 잇따르면서 노후 건축물의 안전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울산발전연구원 변일용 박사가 계간지 <울산발전>을 통해 ‘울산의 건축물은 자연재해에 안전한가’라는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해 심각한 지진과 풍수해를 입었고, 앞으로 이같은 자연재해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보면 노후 건축물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변박사는 울산의 건축물 13만2950동(2015년 기준) 가운데 과반수 이상을 노후건물로 분류했다. 1970년대와 그 이전에 건축된 건물도 18.4%나 됐고, 1980년부터 2000년 사이에 건축된 건물이 54%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비교적 신축건물이라고 할 수 있는 2001년 이후 건물은 27.5%에 그쳤다. 신축건물이 많은 남구를 제외하면 다른 4개 구군 건축물의 노후 비율은 더 높아진다. 특히 오래된 도시인 중구의 경우 노후 건축물의 비중이 매우 높다.

노후 건축물은 자연재해의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문제는 노후 건축물에 생활하는 주민들 중 상당수는 자력으로 보강공사를 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빠듯한 재정으로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노후 건축물 보강공사를 위한 지원을 어려운 이웃돕기 차원으로 확대하는 등의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노후 건축물이 지진에 취약하다는 것은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을 통해 여실히 경험했다. 많은 학자들이 울산의 지진발생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들 노후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은 매우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변박사는 남구 달동·삼산 일원의 건축물이 충적층(하천에 퇴적물이 쌓여 굳지 않은 퇴적층)이므로 연악지반에 따른 피해를 예상했다. 지정·기초공사를 위한 비용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들 공사를 충실히 하지 않았을 경우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는 거의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우려도 나타냈다. 앞으로 건축되는 시설물의 내진설계를 강화하도록 조례를 제정하는 등의 대책도 마련돼야 하겠지만 현재 건축물에 대한 점검을 통해 내진시설 보강 등을 해나가야 한다.

울산은 지난 수십여년동안 자연재해로부터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그로인해 도시계획이나 건축에 있어서 자연재해에 대한 고려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어쩌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공공시설물이나 공단 등의 대규모 시설물 뿐 아니라 서민들의 거주지 안전대책도 시급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