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 설립을 포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원전해체산업이 세계적 블루오션이 될것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원전 1기 해체에 6000억원 이상이 들며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해체해야 할 원전이 420기에 달해 시장규모가 1000조원을 이른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재 원전해체기술은 미국, 독일, 일본 등만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가 지난 3일 개소했다. 이 연구소에는 미래부가 최대 5년간 31억5000만원을, 울산시와 울주군이 총 10억원을 지원한다. 미래부는 울산 뿐 아니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방사성폐기물 다상 복잡계면 방사화학 연구센터’를,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에 ‘소듐냉각고속로(SFR) 안전성 향상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 및 검증 연구센터’를 함께 선정, UNIST에서 공동개소식을 가졌다.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에 공을 들여왔던 울산시로서는 원전해체산업에 한발짝 가까이 다가선 셈이다.

지난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는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하고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다. 울산은 부산과 공동유치를 하기로 하고 역시 공동유치에 나선 대구·경북과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그런데 1년여 동안 미적거리다가 2016년 7월 기획재정부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토대로 ‘타당성 없음’이라는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이로써 원전해체센터 설립은 사실상 무산된 것이나 다름없다. 이에따라 울산시도 원전해체센터를 관심 밖의 사업으로 돌려버렸다. 반면 부산상의는 원전해체 분야 산업기반 조성과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부산원전해체산업특별위원회 설립에 나서는가하면 부산시는 기장군에 원전해체센터 설립을 추진하는 등 여전히 원전해체산업 육성에 적극 대응해가고 있다.

우리가 원전해체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올해 6월17일로 확정돼 있는 고리 1호기의 가동중단 때문이다. 우선 세계적인 원전해체시장 진출에 앞서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원전해체 자립을 이루자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훌륭한 원자로를 개발, 수출까지 한 원자력기술 선진국이다. 전문가들은 건설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해체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며 고리원전 1호기의 폐로를 원전산업 역사의 새로운 시작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울산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인 반경 30㎞내에 원자력 16기를 두고 있는 도시가 아니던가. 부산은 조선기자재·해양플랜트의 대체산업으로 원전해체산업을 꼽고 있다. 이는 울산시가 원전해체기술개발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UNIST에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가 설립된 것을 계기로 원전해체산업이 울산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