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6월 정부는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했다. 만 1년이 되는 오는 6월이면 지정기간이 만료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조선업의 경기는 아직도 되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수주실적은 저조하다. 27일 발표된 조선사 빅3의 1분기 수주계약은 31억달러(16척)에 그쳤다. 삼성중공업이 15억달러(2척)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중공업은 10억달러(10척), 대우조선해양 6억달러(4척)이다. 각사별 연간 수주 목표 대비 23%, 16%, 10%에 불과하다.

이들 조선 3사의 수주실적은 우리나라 조선업의 현재를 보여주는 것으로, 아직 특별고용지원업종에서 벗어날 준비가 되지 못했다는 사실에 다름 아니다. 울산만 해도 현대중공업이 잇달아 도크를 폐쇄하는 등으로 일자리 감소가 예고돼 있고 사업구조조정을 통한 분사에 따른 고용불안도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소 협력업체들에서 일자리를 잃은 실직자들에 대한 실업급여 혜택 등은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지역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도 반드시 특별고용지원업종의 연장이 필요하다.

울산상공회의도 이같은 지역실정을 감안해 27일 국무총리실과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자치부 등 정부부처에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연장을 건의했다고 한다. 상의는 국내 조선사들이 그간 축적해온 기술력과 노하우, 선주사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경영정상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전개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1년 더 지원을 연장해주기를 당부한 것이다. 회생불능이 아니라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므로 정부가 조금 더 도와줄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현대중공업의 경우를 보면 1조원 규모의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2척 수주 계약건 협상을 진행중이다. 이 계약은 올해 수주건 중 최대 규모다. 불확실성을 고려해 올 1월에 올해 수주목표를 공개하지 않았던 현대중공업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연간 수주 목표를 조선 43억달러, 해양 16억달러, 플랜트 5억달러 등 64억달러(약 7조원)로 밝혔다. 대형 수주건에 청신호가 켜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오는 6월에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종료하는 것은 조선업계의 이같은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 될 수 있다. 조선업은 어떤 업종보다도 고용률이 높기 때문에 조선업의 경기회복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반드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1년 연장을 통해 조선업계의 안정화에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