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차바’로 막대한 피해를 본 울산지역의 재해복구사업이 지연되면서 2차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정부가 6월 중순에 시작되는 우기(雨期) 전 완공을 목표로 고삐를 죄고 있지만 피해가 컸던 대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공사가 지연돼 기한내 완벽한 복구가 이뤄질지 의문이다. 부실한 재해 관리및 대책으로 사상 최악의 피해를 경험했던 울산 시민들이다. 악몽과도 같았던 ‘차바’의 후유증에서 채 벗어나기도 전에 또 다시 같은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떨치지 못하게 해서야 되겠는가.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과거 수해복구 공사때마다 논란이 됐던 부실·졸속공사 없는 완벽한 복구로 시민 근심을 덜어주었으면 한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울산을 포함해 남부지방을 강타한 태풍 차바는 총 2150억원 규모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정부는 피해지역에 5049억원의 복구비를 지원했다. 울산 1337억원, 경남 1712억원, 부산 862억원, 제주 621억원, 기타 4개 시·도 517억원이 각각 책정됐으며 피해를 입은 공공시설 2771건 가운데 1275건의 복구가 완료되는 등 복구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울산을 비롯해 부산, 경남, 경북, 제주 등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37개 대규모 사업장의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중호우시 피해가 예상된다. 울산지역 사업장은 중구 띠밭교, 북구 신명천1·2와 당사항, 상방지하차도, 울주군 보은천과 점천교 재가설, 대복천, 회야강 등 총 9곳이며 복구금액은 479억원이다.

통상적으로 수해복구 공사의 경우 발생한 하반기에 예산을 편성해 다음해 상반기에 공사를 발주함으로써 공정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차바’ 피해복구 사업도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 10억원 이상의 수해복구사업은 중앙재난안전 대책본부의 사전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 등 복잡한 행정절차도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울산의 공공시설물 피해복구공사는 지난 1월말께부터 집중 발주, 애초부터 대규모 공사의 경우 공기가 촉박할 수밖에 없었다. 또 5개 구·군에서 무려 1000여건에 이르는 수해복구 공사가 동시다발적으로 시작돼 구·군의 행정력만으로 이 많은 공사를 제대로 관리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뒤늦게 국민안전처가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대규모 사업장을 중점관리 재해복구사업장으로 지정해 세부 공정계획을 다시 세워 담당공무원과 감리자가 철저히 관리·감독하고, 해당 지역 단체장이 수시로 챙기도록 했다. 과연 우기 전 완벽 복구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그저 지켜볼 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