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자동차 도시’다. 우리나라 최초의 고유모델 ‘포니1’을 만든 도시이자 단일 공장으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현대자동차 생산공장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에 근무하는 근로자만 해도 3만여명에 이른다. 500여개의 협력업체 종사자는 4만명이 넘는다. 울산시민 중 7만여명이 자동차를 만드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셈이다. 3인가족으로 계산해도 21만여명이 자동차 가족이다. 울산시민의 17.5%에 이른다.

5월12일은 ‘울산 자동차의 날’이다. 올해로 11번째다. 울산시가 2006년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3대 주력산업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기념일을 정하고 매년 축하행사를 하고 있다. 울산 자동차의 날은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국산차 수출 1000만대를 기록한 1999년 5월12일을 기념하고 있다. 자동차 수출 40주년을 맞은 2016년 11월로 누적 2363만대를 수출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 강국이며 울산이 그 중심도시인 것이다. 많은 외국인들에게 울산은 현대자동차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늘 우리는 ‘울산 자동차의 날’을 마냥 축하만 할 수는 없다. ‘자동차 도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생산규모는 10년전과 거의 동일하다. 울산공장의 현대차 내 비중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것에 다름아니다. 눈앞에 닥친 미래자동차 산업에서도 울산 소외는 심각한 상황이다. 자동차 산업은 자율주행, 전기차 등 친환경, 커넥티드카(connected car·정보통신 기술과 자동차를 연결시킨 것으로 양방향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이 가능한 차량) 3대 축으로 진화가 예고돼 있다. 그런데 현대차 울산공장은 그 흐름에서 많이 비껴서 있다. 친환경차의 하나인 수소차 양산체제에 들어가긴 했으나 경제성과 안정성 미흡, 충전소 부족 등의 한계에 봉착해 있다. 10일 출범한 새정부의 문재인 대통령도 대선공약에서 미래 자동차 산업의 주력도시를 광주로 선택했다. 또 대구 공약으로 전기차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차 선도도시 육성을 약속했다. 울산시가 제안했던 ‘지능형 미래자동차 하이테크밸리 조성’과 ‘수소자동차 실증도시 조성’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 반영되지 않았다. 문대통령의 공약 속에는 ‘자동차 도시 울산’의 미래가 없는 셈이다.

한마디로 ‘자동차 도시 울산’의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다. 7만여명의 고용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친환경차 확대는 내연기관 부품의 변화로 인한 일자리의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위기 극복은 위기를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제11회 울산 자동차의 날이 축하의 날이기 보다 위기 인식의 날이 돼야 하는 이유이다. 이날 기념식에 앞서 울산시와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지능형 미래자동차 핵심기술개발 MOU’를 체결하고 자율주행 자동차 등 미래 자동차 핵심기술 연구개발,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 육성 및 기술지원, 기술개발과 기업 지원정책 발굴 등에 나서기로 했다. 위기 극복의 첫 단추가 될지 기대를 걸어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