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내 국가산업단지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마음은 복잡하다. ‘전국 최고 부자도시 울산’이라는 명성과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를 이고 사는 불안감을 동시에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 풍요가 최우선 목표였던 가난한 시절에는 고마운 존재였지만 삶의 질을 따지기 시작하면서 안전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 산업수도의 위상을 유지하면서도 시민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울산이 될 수는 없는 것일까.

울산시는 17일 울산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용역을 맡았으며, 내년 4월까지 수행한다. 지역 최대 안전 위협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는 국가산업단지의 위험요소를 제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도시 구축을 위해서다.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 공약인 ‘국가산단의 안전성 확보’와 맞물려 국비 확보 등 사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용역에서는 국가산단내 석유화학업체 기초안전성조사와 자료 분석 비용 산정, 국가산단 안전관리 추진과제(콘텐츠) 제시, 산업안전 인프라 구축과 안전관리 협업체계 구축 방안 마련, 국가산단 통합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국가산단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울산시 위상 제고방안 등이 제시된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는 내년에 표본 안전진단과 안전관리 과제 발굴,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등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

국가 수출전진기지로 집중육성된 울산의 주요 국가공단은 대부분 조성된 지 50년 이상 됐다. 흐른 세월만큼이나 시설 노후화에 따른 안전성 문제가 대두돼 왔다. 지속적인 유지·보수에도 잦아지는 누출·폭발 사고와 지난해 경주지진에서 비롯된 공포심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국 최고의 화학물질을 취급(전국의 36% 정도, 5768만t)하는 울산지역 국가산단의 내진 설계 적용 및 적정 시공 여부가 불명확해 강진 발생시 석유화학 장치 시설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면서 정주의식을 뒤흔들고 있는 것이다.

지역 최대 안전 위협요인으로 대두된 국가산단의 안전관리에 총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이 조속히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국가산단의 지하배관망 등 노후시설 안전진단을 신속히 실시하고, 국가산단 지하매설배관리센터와 지진방재센터 건립 및 재해·재난관리클러스터 등도 빠른 시간내에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 정부 3개 부처로 나뉘어져 있는 국가산단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자치단체에 이양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시민 안전 확보라는 대명제 아래 종합적, 체계적 관리를 자치단체가 맡고 중앙부처가 적극 지원하는 형식이면 어떨까 싶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