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민들의 식수는 늘상 위협받고 있다. 이유는 두가지다. 울산지역 내에서 시민들에게 필요한 식수를 모두 확보하지 못하고 낙동강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또 한가지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문제와 연계해 식수원인 사연댐 수위 조절에 대한 요구 때문이다. 분명 울산시민도 맑은 물을 마실 권리가 있다. 울산시는 어떤 대책을 갖고 있는지, 정부는 왜 관심을 갖지 않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부산시는 새정부 들어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낙동강 하류의 기수 생태계 복원이 목적이다. 그러나 하굿둑 개방은 낙동강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울산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하굿둑을 개방하게 되면 물의 염분농도가 급상승하기 때문이다. 울산은 하구언으로부터 27㎞ 지점에 위치한 원동취수장을 취수원으로 하고 있다. 취수원을 옮길 수 없으면 염분처리 고도화 정수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후속조치가 필요해진다. 정수비용도 문제이거니와 수질악화로 식수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울산시의 낙동강물의존도는 17%에 이른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문재인 대통령의 부산지역 공약이다. 공약을 실현하려면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과 함께 주변 지자체의 의견수렴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22일 문대통령이 갑작스럽게 ‘4대강 감사’를 지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국토교통부 수자원국을 환경부로 이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수량 관리에 치중하는 국토부 대신 수질 관리를 담당하는 환경부가 물관리를 맡는다는 것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이 환경적 시각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부산시는 이를 하굿둑 개방의 청신호로 해석하고 있는 모양이다.

문 대통령은 울산공약에서 반구대 암각화 보존문제와 관련해 ‘대체 수원 확보를 전제로 사연댐 해체 및 유역 복원을 통해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분명 문 대통령의 공약에 울산의 맑은물 공급문제가 들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울산의 식수확보 문제도 ‘4대강 감사’ 지시 후 구성된 정부 통합물관리상황반의 의제에 올라야 한다. 통합 물관리 체계가 안정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개최할 것이라는 이 상황반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국민안전처의 차관과 기상청장 등이 참석한다. 사연댐 수위조절에 따른 대체수원으로 경북의 운문댐 물을 공급하는 문제를 해결하기에 매우 적절한 기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문 대통령의 공약인 울산의 대체수원 확보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반구대 암각화 보존, 두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정부의 통합물관리상황반이 이 문제에 해결에 나서도록 울산시와 지역 정치권의 총체적인 노력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