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울산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재도약과 의료서비스산업 육성 거점을 목표로 2015년 7월 문을 열었지만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핵심인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4대강 사업 등과 함께 적폐대상으로 몰리면서 존폐 위기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대기업과 제조업 중심의 울산 산업구조 하에 청년창업 활성화 등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 기조와 맞물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존치되더라도 통폐합과 같은 조정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여 어떤 경우라도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앞날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울산센터의 경우 당초 취지를 100% 살리지는 못했지만 설립 이후 청년창업 활성화 등을 꾀하며 신산업, 신기술 분야의 벤처·중소기업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기에 일방적 폐지 또는 통폐합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될 것이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을 비롯해 울산의 강점과 세계 최대 조선기업인 현대중공업의 역량을 결합해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재도약 지원 △첨단 의료자동화 신산업 육성 △민간 창업보육기관과 혁신센터 간 플랫폼 연계 △지역특화 3D 프린팅 산업 육성 등의 사업을 추진중이다. 대·중소 협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창업보육, 중소기업 지원, 투자유치에 나서면서 창업열기를 북돋우고 있다. 지난해까지 92개사 창업 보육을 비롯해 137건의 중소기업 혁신 지원, 244억원의 투자유치, 720건의 법률·금융·특허 원스톱 서비스 제공 등을 했다. 또 가족기업 가운데 케이랩스 등 5개 기업은 미래부 주관 ICT 유망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대기업 주도의 경제발전과 고용확대 정체 등으로 청년실업 증가와 인구감소라는 위기에 처해 있는 울산에서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중소벤처기업의 산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가시적인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3대 주력산업을 기반으로 4차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는 울산 경제의 혁신기반 구축을 위해서라도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존치는 절실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기업 육성과 중소기업 혁신, 지역특화사업을 목표로 탄생한 기관이다. 지역별 혁신센터는 대기업들이 전담하는 형태로 이뤄지며 전담 대기업의 혁신역량을 활용해 창업을 장려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해 지역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2014년 9월부터 전국 18곳에 세운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기업들의 지원을 받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 왔다.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도 부합한다. 무조건적인 전임 정권 색깔지우기 대상으로만 삼기에는 참으로 아깝지 않은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