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종식 수순에 접어들었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북 군산, 제주를 시작으로 다시 확산 중인 가운데 AI 청정지역 울산도 뚫렸다. 가금류에 치명적인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확인된 전북 군산의 종계농장에서 유통된 닭이 부산 기장군 중간유통상을 통해 울산의 전통시장으로 유입, 농가에 판매됐으며 그 가운데 일부가 폐사해 AI 간이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울주군이 지난해 10월 전남 해남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8개월간 운영한 특별방역대책 기간 운영을 지난달 말 끝내고 ‘조류 인플루엔자(AI)·구제역 없는 청정 울주‘를 선포한 지 일주일도 채 안돼 발생한 것이다. 울산시도 지난 4월19일 정부가 AI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하향 조정함에 따라 AI 재난안전대책본부(전 기관 총력대응)를 방역대책본부(농축산과 중심)로 전환, 울산의 AI 청정지역 사수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아쉬움은 접어두고 더 이상의 확산방지를 위한 총력대응체제를 갖추는 것이 급선무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AI방역대책상황실을 운영, 5일부터 기장군과 양산시로 오가는 국도 14호선과 서울IC산에 각각 이동통제초소를 운영하면 비상근무를 시작했다. 또 기장군 농가와 반경 3㎞ 이내인 서생면 화산리, 명산리, 위양리 일대 농가의 닭 3000마리 가량을 살처분하고 있다. 더불어 5월27일 이후 울주군 언양시장, 남창시장에서 닭, 오리를 구입한 농가의 신고를 받고 있다. 불특정 다수에 팔려 구매자에 대한 역추적이 어렵기 때문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사태의 진원지로 추정되는 군산 농장에서 3600마리의 닭이 중간유통상과 재래 시장 등을 통해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 가운데 유통 경로가 확인된 지역은 제주, 경남 양산·진주, 경기 파주, 부산 기장, 충남 서천, 전북 군산·전주 등 8개 시·군으로, 울산이 빠져 있다.

신속·정밀 대응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적지 않다.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한 시점으로, 울산 전역으로 확산되기 전에 빠른 시간내 자진 신고를 통해 유통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I 예방을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방역체계가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농가의 초동대처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이번 사태를 초래한 군산 농가만 해도 의심사례를 방역 당국에 신고, 정확한 검사를 받았더라면 제주, 울산 등지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울산지역 농가들도 반면교사로 삼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