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악 수준의 울산 대기질에 시민 걱정이 커지고 있다. 19일 울산의 미세먼지(PM10) 최고값이 177㎍/㎥(매우나쁨)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기(122㎍/㎥), 인천(117㎍/㎥)보다도 훨씬 높았다. 초미세먼지(PM2.5) 역시 최고값 110㎍/㎥(매우나쁨)로 가장 높은 값을 기록했다. 대기환경의 나침반으로 불리는 통합대기환경지수(CAI)도 울산(215)이 가장 높았다. 울산공업센터 조성을 시작으로 50년 이상 조국근대화와 공업입국을 위한 국가산업전진기지 역할을 해 온 대가로, 그 여파를 울산 시민들이 오롯이 감당하고 있다.

(사)환경보호협의회(회장 박도문)가 이날 개최한 ‘울산의 미세먼지와 그 대책’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이병규 교수는 “울산의 미세먼지 총 배출량은 7대 특·광역시 중 1위이고, 미세먼지로 인해 호흡계·심장질환, 심장병 등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 배출원은 제조업 연소, 유기용제 사용, 생산공정, 도로이동 오염원 등이다. 중화학, 조선, 항만 등 다양한 고농도 대기오염배출원이 산재한 지역사정과 연계돼 있다.

단위 면적당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물론이고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오존주의보 발령일수 등 대기질의 위험을 경고하는 각종 환경지표의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울산이다. 개선을 위해서는 산업지역 또는 도시지역 등 거점별 미세먼지 감축 기준을 설정하고 가장 적절한 기술력을 투입해 저감시키는 대책수립이 절실하다. 울산시는 앞서 세계 선진도시 수준으로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지난 2011년부터 2020년을 목표로 한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을 수립, 1(2011~2015)·2단계(2016~2020)로 나눠 추진해 오고 있다. 사업초기인 2011년 2012년에만 총 5000억원이 넘는 사업비를 투입했다. 2단계 대책이 추진중인 2017년에도 1단계 대책을 보완한 세부시행계획을 마련, 지역특성에 부합한 최적의 맞춤형 대기환경 개선에 나서고 있다.

그렇지만 시민들이 체감하는 대기질 개선 정도는 미약하기만 하다. 공장 굴뚝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검은 연기가 사라진 것을 위안으로 삼는다면 모를까. 울산시가 아무리 막대한 예산 투입과 각종 규제 정책으로 대기질 개선에 나서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울산시도 자체 대기오염 관리대책만으로 대기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 동남권 대기환경청 설립을 요청하고 있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더없이 절실한 울산에 중앙정부의 지원이 적기에 이뤄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