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7개 회사 시내버스가 노사협상 결렬로 멈춰 설 위기에 처했다. 울산여객, 남성여객, 유진버스, 대우여객, 학성버스, 한성교통, 신도여객 노조 등은 10일 열리는 울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회의가 결렬되면 11일 오전 4시 첫 차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임금 인상과 정년 연장을 둘러싼 노사간 쟁점이 첨예하게 대립돼 합의점 찾기가 만만치 않다.

연간 300억원이 넘는 혈세를 지원받고 있는 시내버스가 시민 불편은 아랑곳없이 일시에 멈춰 선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100여개 노선 730여대가 운행되는 시내버스 회사가 파업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하루 평균 27만여명에 달하는 승객들에게 돌아간다. 시내버스는 지역내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아무리 대체 수단을 투입한다 하더라도 원활한 수송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민을 볼모로 한 파업보다는 시내버스 업계가 안고 있는 현재의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근본적 개혁작업에 머리를 맞대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만성적 경영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울산지역 시내버스 문제는 대수술을 필요로 한다. 울산시의 버스운영지원금은 한 해 300억원을 넘어섰다. 2016년 246억원에서 2017년 311억원으로 큰폭으로 늘었지만 버스회사의 경영수지는 나아지지 않고 있다. 시는 얼마전 올해 버스적자의 80%(311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계획을 조정해 최근 59억원을 추가한 90%(370억원)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시내버스 현안 해결책을 내놓은 바 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지적을 무릅쓰고 버스회사들이 요구하는 준공영제에 가까운 지원에 나섰지만 그 결과가 ‘시내버스 공동파업’이라니, 시민적 반발을 초래하지 않을 수 없다. “노사가 상생은 뒤로하고 시민을 볼모로 공멸의 길을 선택한다면 추가 지원금 59억원은 지원할 수 없다”는 시의 경고와 무관하지 않다.

울산시에 따르면 올 들어 5월까지 시내버스 승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0만명 감소했다. 운송수입도 지난해 같은 기간 554억원에서 536억원으로 18억원(0.34%) 줄었다. 시는 1단계 조치로 가칭 버스개혁시민위원회를 발족시켜 다음 달부터 내년 7월까지 버스종합대책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2단계로 내년 8월부터 2020년까지 버스 운영, 노선 환승, 서비스 체계를 뜯어고치기 위해 버스개혁추진단을 신설할 계획이다. 시내버스 노조 또한 파업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인식과 함께 현재의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시내버스 개혁작업에 적극 참여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