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울산지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심상찮다. 채소 등 농산물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2%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산업경기 침체에 주머니가 얄팍해진 서민 가게를 옥죄고 있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7월 울산지역 소비자물가가 102.73으로, 지난달보다 0.1%,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신선식품 물가지수는 14.5%, 생활물가지수는 3.2% 올랐다. 전년동월대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지난 3월 2.4% 상승 이후, 1월과 6월 2.0%를 제외하고 2월, 4월, 5월과 7월 4개월이 모두 2.1% 상승하는 등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가뭄과 폭염의 영향을 받은 채소 등 농축수산물이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8% 올랐으며, 전기·수도·가스 7.8%, 서비스 1.9%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와 감자, 오징어, 양파 등 농축수산물을 비롯해, 보험서비스료, 도시가스, 구내식당식사비 등이 비교적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시민들은 한결같이 기초 생필품부터 농산물에 이르기까지 가격이 오르지 않은 품목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라며 하소연한다. 물가 상승에 비해 제자리만 맴도는 수입만으론 이제 장보기가 두렵다는 서민들의 비명소리도 들려온다. 올해보다 16.4% 인상된 최저임금제가 적용되는 내년의 물가가 더 걱정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가뜩이나 체감물가가 타 지역의 두배에 이르고 있는 울산이다. 예전에도 음식값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수준인데 최근 인상 폭이 커지면서 직장인들은 점심 한끼 먹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에 이르고 있다. 울산의 고물가가 타지역에 비해 높은 인건비 등 울산의 소비적 특성이라고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서민층은 울산에서 살아나갈 수 있을지 걱정이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는 1일 오전 기획재정부 고형권 1차관 주재로 3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최근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는 농축수산물에 대한 수급·가격안정 대책을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다. 회의에는 기재부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가 참석했다. 정부대책과 더불어 울산시 차원의 물가안정대책도 뒤따랐으면 한다. 산업구조상 도소매 비중이 낮고 농축수산물의 유통구조가 취약한 울산 지역특성에 맞는 물가정책을 의미한다. 통계에서 나타나는 숫자적 의미보다 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를 제대로 분석, 가격하락 경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