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남구가 WHO 국제안전도시 인증에 한걸음 다가섰다. 21~22일 실시된 1차 실사가 순조롭게 끝났다고 한다. 1차 실사는 국제안전도시지원센터장과 국제안전도시연구소장이 실시했다. 그들은 이틀동안 산업 안전, 자살 예방, 낙석 예방, 생활 안전, 교통 안전, 학교 안전, 폭력 및 범죄 예방 등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폭넓은 안전을 점검했다. 실사팀은 국제안전시범학교 지정 등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면서 보완할 점도 제시했다. 오는 12월 국제안전도시 인증센터의 2차 실사가 남아 있다. 이 실사에서 좋은 평가를 받게 되면 남구는 내년 1월 국제안전도시로 공인 받는다.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은 그것으로 완성이 아니다. WHO가 정의하는 안전도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안전한 도시를 지향하면서 사고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다. 사실상 안전은 완성될 수 없다. 안전한 도시를 위해 얼마나 완벽하게 준비가 돼 있느냐는 것을 살펴보고 그 수준과 노력을 평가해서 인증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추진하는 과정이 곧 성과인 셈이다.

울산은 우리나라 산업수도이다. 특히 우리나라 근대화의 선도도시로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안전에 대한 고려가 턱없이 부족한 가운데 공단이 만들어졌다.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시인 셈이다. 더구나 남구는 석유화학 업종이 밀집된 국가공단이 있는 지역이다. 국내에서 안전도시로 인증을 받은 도시는 수원, 제주, 서울 송파구, 강원도 원주시 등 위험요인이 많지 않은 도시들이다. 남구가 국제안전도시 인증에 도전한 것만으로도 대단한 각오를 엿볼 수 있다. 안전도시로 인증된 뒤 사고 발생의 역효과를 우려하면 선뜻 나서기 어려운 일을 추진한 것이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지난 2015년 5월 국제안전도시인증을 추진하면서 “각종 손상사고와 재해로부터 구민을 보호하는데 모든 가치를 두고 체계적인 민·관협력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제적인 수준의 안전기준을 만들고 지켜나겠다는 남구의 남다른 앞선 행정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WHO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된 도시는 세계적으로 331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0여개 도시가 인증을 받았다. 3년 가까이 공들인 결과가 올 연말에는 나타날 전망이다. 1차 실사에서 지적된 것을 보완해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한편으론 결과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것도 밝혀두고 싶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인증을 준비하는 과정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고 보람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