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범죄발생빈도와 정도에 따라 전국 단위로 각 공원을 내부적으로 등급을 매겨 치안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범죄 발생 및 112 신고 건수, 현장점검 결과, 주민 여론 등을 토대로 전국의 공원 안전등급을 평가, 레드(Red·위험), 옐로우(Yellow·주의), 그린(Green·안전) 3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등급에 따라 순찰 빈도를 높이고 자치단체와 협의해 시설물을 개선한다. 문제는 최고 등급인 레드등급 공원이다. 경찰의 특별관리에도 불구하고 매년 주요 강력범죄가 5건 이상 발생하고, 112신고가 빈번한 이른바 ‘우범’ 공원으로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지역에도 25곳이나 있다. 중부서 관할이 12곳으로 가장 많다. 남부·울주서 관할 각각 5곳, 동부서 관할 3곳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7대 범죄(살인, 강도, 강간및 추행, 절도, 폭력, 마약, 방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울산의 레드등급 공원에서 최근 3년간 발생한 범죄건수는 278건에 이르고 있다. 강간 및 추행 3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절도와 폭력이었지만 애꿎은 시민들이 언제든지 강력범죄에 휘말릴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남부서 관할의 5곳 위험 공원은 해당 범죄발생은 111건으로 가장 많다. 유흥가와 인접한 공원의 우범지대화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울주서 89곳, 동부서 43건, 중부서는 35건이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우범공원’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경찰이 공원 이름 공개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범지역을 공개하면 개선효과보다 낙인효과로 더 위험해질 것이라는 일부 설명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지가 하락을 우려한 취약지역 주민들의 집단 민원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 과연 옳은 일일까.

시민의 입장에서는 주변의 공원이 얼마나 안전한지 알 권리가 있다. 스스로 불필요한 범죄에 휘말릴 확률을 줄이기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위험정보를 모른 시민이 무방비 상태에서 범죄 피해를 당한다면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묻고 싶다. 또 경찰의 범죄 예방활동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라도 정보공개가 필요하다. 지역주민들조차 모르는 상태에서의 범죄 예방활동으로는 한계가 있다. 레드 공원이 범죄 장소나 우범지역으로 전환되는 걸 막기 위해서라도 정보 공개를 통한 시민적 이해를 바탕으로 경찰과 지자체가 협력해 환경 개선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있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