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울산을 비롯한 부산·경북이 경쟁하고 있다. 원전 해체 수요가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해체기술력 확보가 곧 엄청난 규모의 산업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원전해체연구소를 둔다면 가장 좋은 입지가 울산이라는 것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관련 산업은 물론이고 연구인력도 충분히 확보돼 있다. 연구소 부지까지 선정해놓았다. 한마디로 ‘준비된 도시’다.

서울대 박군철 교수팀의 연구용역결과도 원전해체연구소의 최적지가 울산이라고 나왔다. 박 교수는 5일 열린 중간보고회에서는 산업, 입지여건, 경제, 기술적 연계성, 정책, 사회 등 6개 분야를 분석한 결과, 울산이 국내 최고 수준의 입지여건을 갖추었다고 밝혔다. 플랜트, 정밀화학, 환경복원 등에 있어 국내 최고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해체 관련 원천기술 학보와 실증화가 용이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혔다. 지난 3월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를 설립한 UNIST는 물론이고 국제원자력대학교 대학원도 자리하고 있어 연구진도 풍부하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원전모델이 인접지역에 고루 포진하고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폐기물 운반에도 용이하다. 게다가 원전을 자율유치하는 등 원전산업이 활발한 도시임에도 정부의 인프라 수혜가 없으므로 국가균형발전의 측면에서도 울산이 가산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물론 이 같은 결과는 울산시가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게 위해 의뢰해서 나온 것이다. 하지만 충분히 객관성이 전제돼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장점만을 부각하면서 막무가내로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주장할 일은 아니다.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원전과 관련된 일에 대해서는 근본적인 거부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반핵단체들은 해체연구소가 들어서면 해체를 위한 폐기물도 함께 몰려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공연한 갈등이 확산되기 전에 명확한 분석결과를 내놓고 주민들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 막연한 불안감이 뒷일을 감당하기 어렵게 할 수도 있기에 하는 말이다.

원전 1기 해체에 6000억원 이상이 들며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해체해야 할 원전이 420기에 달해 원전해체시장 규모는 1000조원을 이른다고 한다. 현재 원전해체기술은 미국, 독일, 일본 등만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전기술에 있어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원전해체 시장에 뛰어든다면 충분히 세계적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소 유치는 그 시작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