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혜 경제부 기자

인구 120만의 산업수도 울산은 도시 규모만큼 소비 규모도 크다.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이 계속되고 있지만 인구 수를 고려하면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 이런 울산지역 소비 가운데 대기업 3사로 대표되는 대형마트의 비중은 상당하다.

울산시의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 공개를 거부한 코스트코 울산점을 제외하고도 홈플러스(4곳)·이마트(1곳)·롯데마트(3곳)·메가마트(2곳) 등 울산지역 대형마트는 지난 2013년부터 3년간 한 해 평균 6000억원 가량을 울산에서 벌어들였다. 여기에 기업형슈퍼마켓(SSM) 21곳까지 더하면 규모는 상당하다.

문제는 이들 대형마트의 수익이 울산에 스며들어 순환되는 구조가 아니라 대부분 법인으로 역외유출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울산의 유통경쟁력은 더욱 악화되고 영세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은 매출 부진 등 막대한 피해를 고스란히 입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과 대전, 전주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역 기부금·지역민 고용·지역생산품 판매 등 대형마트의 지역기여를 높이기 위해 조례를 제정하고 관련 가이드를 제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울산은 이와 관련해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기는커녕 관련 실태조사도 매년 실시하지 않는 등 관망하고 있다.

울산은 지역업체 납품과 지역민 고용 등 매장을 지역 사정에 맞게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자연히 지역 기여를 높일 수 있는 대형마트의 지역법인화에도 소극적이다.

지역 입점 대형마트에 규제를 가하고 의무를 강제하는 것은 더이상 지역 소상공인과 전통시장만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아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민들이 피땀 흘려 얻은 근로소득이 울산에서 선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울산시민을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시는 사기업에 지역 기여를 강제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는 태도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제정된 조례만 있을 뿐 구성 돼있지 않은 ‘울산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이를 통해 대형마트의 지역사회 공헌과 지역발전 기여를 이끌어 내길 기대한다.

서정혜 경제부 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