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교한지 겨우 10년의 역사를 가진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성장은 눈부시다.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하는 UNIST는 2030년 세계 10위권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목표로 성큼성큼 걸어가고 있다. 매년 국내외 특허출원을 400건 가량이나 하고 있으며 2017년 한해 등록한 특허만해도 국내 197건, 국외 14건에 이른다. 학술지 논문도 한해 1000건을 넘어섰고 논문당 피인용은 수년째 국내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울산의 자긍심이라 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럼에도 일부에서는 여전히 울산지역대학으로서 제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울산시·울주군의 매년 정기적 예산 지원에 대해 불만을 드러낸다. 울산시는 2007년부터 15년간 1500억원, 울주군은 2010년부터 10년간 500억원을 출연 중이다. 특히 UNIST가 지역과 연계해 새로운 사업을 펼치기 위한 예산지원을 요청하기라도 하면 이같은 불만이 증폭된다. 불만의 근거는 울산지역 학생의 UNIST 진학률이 얼마나 되며, 지역사회에 대한 UNIST의 기여도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UNIST는 최근 신약개발연구단지 조성과 연구센터 설립을 위해 울주군에 190억원 가량의 예산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울주군은 설립취지에는 동의하나 교내에 설립하는 것에는 부정적이라며 내년 예산편성에서 배제했다. 연구단지·센터를 교내에 두게 되면 결국 UNIST의 재산이 되고 말 것이란 우려에서다. UNIST의 입장에서는 울주군의 주장대로 학교 밖에 설립할 경우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목표를 같이 하면서도 평행선을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이같은 상황은 앞으로도 수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지난 25일 울주군의회 박기선 의원이 “울주군과 UNIST의 관계 재정립을 위해 UNIST가 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용역이 필요하다”는 5분자유발언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는 UNIST가 지역사회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만들어 주민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데는 인식을 같이 한다. 다만 직접적 경제적 파급효과 뿐 아니라 울산시민들의 자긍심, 정주여건 향상, 간접적 교육 효과, 세계 속 울산의 위상 강화 등 무형의 효과까지 계량화하고, 향후 상생방안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세월이 흐를 수록 UNIST가 가진 자산이 울산의 경제발전은 물론 풍요로운 국가를 만드는데 적잖은 기여를 할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외면한다면 UNIST와 울산시·울주군의 상생은 수시로 삐걱거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