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는 울산의 미래를 가장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전국적으로 인구가 줄어들고는 있으나 울산의 인구 감소는 출산율 저하와는 또다른 일자리 감소라는 특수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울산의 인구는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을 기록하면서 최고점을 찍었다. 그 후 25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8년 1월말 현재 울산인구는 118만4847명이다. 2년여만에 1만5793명이 줄었다. 현대중공업이 있는 동구의 인구유출이 가장 심각하다. 1년 사이 6544명이 줄어 지난 1월말 동구인구는 17만2328명(외국인 포함)이 됐다.

울산은 산업도시다.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면서 급속하게 늘어난 일자리로 인해 인구 120만의 도시로 빠르게 성장했다. 정주의식이 크게 증가했다고는 하나 일자리가 줄어들면 인구가 감소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는 셈이다. 근래들어 급속한 인구 감소의 원인은 조선업의 경기침체다. 울산의 조선업종 사업체는 최근 1년사이 1160개에서 918개로 20.9%나 줄었다. 산업도시의 위상을 지키지 못하면 인구감소는 걷잡을 수 없이 가속될 것이라는 위기감을 예고하고 있다. 인구감소는 경제 뿐 아니라 사회·문화발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곳곳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려워져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도시는 뒷걸음질을 하게 된다. 퇴직자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울산시정의 핵심 과제가 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울산시는 조선업 퇴직자의 재취업을 위해 퇴직자 맞춤형 일자리 창출 정책을 강도높게 펼친다고 한다. 지난해에는 조선업 퇴직자들이 S-OIL석유화학복합시설 공사현장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취업연계사업을 벌여 8082명이 일자리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월 기준 하루 평균 1만5230명이 근무하는데 울산지역 주민이 53%나 됐다. 그런데 이 공사는 오는 4월말로 마무리된다. 울산시는 이들 뿐 아니라 지역내 퇴직자들이 다음달부터 공사가 재개되는 신고리5·6호기 건설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한수원새울본부 등과 27일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동구청도 일자리·퇴직자 지원, 출산·보육·교육·정주여건 개선 등으로 인구를 늘리겠다며 인구정책을 새롭게 수립했다.

울산의 인구정책에서 일자리 창출을 가장 우선에 두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대기업의 공사 현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단기 일자리로는 한계가 있다. 퇴직자들이 새로운 일을 통해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평생학습 활성화 등 근본적 대책 모색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