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울산시 지역연고-프로구단 지원 인색

▲ 울산 문수축구경기장을 찾은 시민들이 2018시즌 프로축구 울산 현대축구단의 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경상일보 자료사진

야구 비해 축구·농구구단에
울산시 지원정책 인색 지적
타지역 기업·시·도민구단은
많게는 140억~160억 지원받아

울산에는 울산 현대축구단과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농구단, 두 프로스포츠 구단이 있다.

울산 현대는 1989년 모기업이 자리한 울산으로 연고지를 옮겼고,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지난 2001년 울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10여년 넘게 울산을 연고로 하는 이들에게는 말 못할 속사정이 있다. 그 이유는 관중 감소로 인한 수익성 악화도 있지만, 다른 경쟁구단과는 달리 유독 지원에 인색한 울산시의 프로스포츠 지원정책을 꼽을 수 있다.

울산의 프로스포츠 정책의 현주소와 문제점, 개선방안을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 야구에만 전폭 지원?

타프로구단 ‘불만’

현재 울산에는 프로야구단이 없다. 부산을 연고로 하는 롯데자이언츠가 지난 2014년부터 문수야구장을 제2구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올해 울산시는 문수야구장에서 프로야구 올스타전 개최에도 뛰어들어, 경쟁지였던 제주도를 따돌리고 ‘올스타전 개최’라는 스포츠 빅 이벤트를 성사시키는 등 지원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반면 울산시는 울산을 연고로 하는 축구·농구 정규 프로구단에는 재정 지원이나 경기장 무상사용 등의 지원이 빈약하다. 이런 와중에 프로야구 올스타전 개최 소식을 들은 울산연고 구단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연고도 아닌 야구 지원에 울산시가 너무나 적극적인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울산 현대는 매년 축구단 운영비로 160억원에서 200억원 가량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모기업인 현대중공업이 조선업 불황으로 경영합리화를 적극 실시하는 시기에도 최대한 축구단 운영에 투자했지만, 지자체의 지원은 없었다.

◇ 울산은 지자체 지원 전혀 못받아

문제는 울산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프로구단(기업구단, 시민구단 포함)들은 울산과 다르게 연고 지자체로부터 조례나 협약을 통한 재정지원으로 운영에 도움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스포츠산업 진흥법은 지자체장에게 스포츠산업 진흥을 위해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도록 규정했다. 당시 지자체 자치법규에는 이를 통한 지원근거가 미비했다. 이에 지난 2016년 스포츠산업진흥법 표준 조례안이 개정·공표됐고 지역연고 프로스포츠구단에 대한 사용료 현실화와 경기장 장기 임대 등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지자체에서도 근거를 만들어 프로구단을 지원할 수 있게 바뀐 것이다.

실제 K리그1·2 리그에 참가하는 기업구단, 시·도민구단은 연고 지자체로부터 적게는 1억원에서 많게는 140억~160억원까지 지원받는 곳도 있다. 울산처럼 기업구단인 전북 현대모터스, 제주유나이티드, 포항스틸러스 등의 구단도 전북·전주시, 제주시, 포항시로부터 경기장 무상사용이나 운동장 사용료 감면, 광고 독점사용권 등 지원을 받고 있다.

반면 연고 지자체가 구단에 직접적인 지원을 하지 않는 곳은 서울과 울산, 부산 등 3곳 뿐이다. 특히 울산은 지원할 수 있는 관련 근거가 아직도 타 시·도처럼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다.

축구계 관계자는 “현대미포조선 축구단이 왜 해체했는지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프로구단과 지자체간 상생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운영에 점점 부담을 느끼는 구단들이 어떻게 할 지는 뻔한 것 아니겠느냐”고 우려했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