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최대 안전 위협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는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종합 안전관리대책이 마련됐다. 울산시가 울산대학교 안전센터에 맡긴 ‘울산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통해 ‘산업안전과 경제가 상생하는 도시 울산’이라는 비전을 내놓았다. ‘화약고’를 품고 산다는 불안감이 큰 울산시민들이 체감할 수 안전도시 구축에 탄력을 붙을 전망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마스터플랜은 선진 과학적 안전관리 기술력 확보, 국가산단 안전관리 협업강화, 실질적·효율적 국가산단 관리능력 확보, 재난으로부터 시민 생명과 재산 보호 등 4대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재난시 대응능력 강화와 고위험 공정 상시 모니터링체계 구축, 예방안전 인프라 구축 및 안전문화 증진, 사고대응 통합컨트롤 체계 강화 등 4대 전략, 30개 세부 실천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또 전략별 세부 실천계획으로, 재난 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특수재난훈련센터 건립, 대형 저유시설 소화 장비 확보, 사고대응 매뉴얼 보완, 화학물질 안전운송 체계 개선 등 7개 사업을 제시해 놓고 있다. 고위험 공정 상시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감지시스템 구축,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지하배관 과학적 순회감시시스템 구축 등 8개 사업을, 예방안전 인프라 구축과 안전문화 증진을 위해서는 노후시설 안전진단과 개보수, 산업안전 트레이닝센터 설립, 영세중소기업 안전관리 수준 향상 지원 등 8개 사업을 추진토록 했다. 사고대응 통합컨트롤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통합안전관리 협의체 구축, 합동방재센터 대응역량 강화 등 6개 사업을 제안했다.

문제는 마스터플랜을 기본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재원마련과 실행능력이다. 연구팀은 마스터플랜을 실제 수립하는 데 1947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없이 울산시가 홀로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찬 수준이다. 사업추진을 뒷받침하는 과감한 국가산단 관리 권한 이양도 필요하다. 국가경제개발을 위해 국가산업단지를 조성, 인허가부터 모든 관리권을 행사해놓고 울산시민들에게는 환경오염과 안전사고 등 온갖 피해와 책무를 떠넘긴 과거 권위주의 정부의 구태를 답습해서는 곤란하다. 대규모 주거단지와 불과 0.15~2㎞ 거리를 둔 울산의 국가산단은 시설노후화로 중대사고 발생시 대형재난으로 확대될 위험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진정성을 믿어 볼 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