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잇단 강성발언에 자극받은 듯…‘이대론 성공 어렵다’ 판단 분석

“북 사전접촉 요청 응답안해”…폼페이오 “성공 가능성 작다고 봐”
美 일괄타결-北 동시적·단계적 접근 ‘팽팽’…결국 파국으로
트럼프 “언젠가 만나기 바란다”…향후 재추진 가능성 열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다음 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예정됐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첫 북미 정상회담을 불과 19일 앞두고 회담을 전격 취소하면서 커다란 충격파를 낳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8일 “조기에 만나고 싶다”는 김 위원장의 제의를 수용한 지 두 달여 만에 북핵 협상과 한반도 정세가 다시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안갯속으로 빠져드는 양상이다. 

그동안 회담의 성공을 자신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이 밝힌 김 위원장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최근 당신들의 발언들에 나타난 극도의 분노와 공개적 적대감에 근거, 애석하게도 지금 시점에서 회담을 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며 “싱가포르 회담은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언급으로 미뤄볼 때 북미회담을 앞두고 최근 북한에서 잇따라 나온 강성발언이 주요 배경의 하나로 작용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 외무성의 최선희 부상은 2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보도된 담화를 통해 “미국이 우리의 선의를 모독하고 계속 불법무도하게 나오는 경우 나는 조미(북미) 수뇌회담을 재고려할 데 대한 문제를 최고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부상은 또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최근 폭스뉴스에서 언급한 ‘리비아 모델’ 언급 등을 거론하며 펜스 부통령에 대해 ‘아둔한 얼뜨기’라고 비난하는 한편, “우리도 미국이 지금까지 체험해 보지 못했고 상상도 하지 못한 끔찍한 비극을 맛보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목할 점은 최 부상의 이런 비난이 나온 지 수 시간 만에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취소가 발표된 것이다.

북한은 이에 앞서 지난 16일 한미 공군의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 Thunder) 훈련을 비난하며 당일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중지했고, 미국을 향해서도 “조미(북미) 수뇌상봉의 운명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며 북미정상회담에 처음으로 우려스러운 ‘적신호’를 발신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도 같은 날 담화를 통해 “일방적인 핵 포기만을 강요하려 든다면 우리는 그러한 대화에 더는 흥미를 가지지 않을 것”이라며 “다가오는 조미(북미)수뇌회담에 응하겠는가를 재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재차 위협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미측의 접촉 요청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으며, 이 역시 회담 취소 결정의 중요한 배경이 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상원 외교위에 출석해 최근 며칠간 싱가포르로의 수송 및 이동 계획 등에 관해 논의하자는 미국 관리들의 거듭된 요청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다면서 이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취소를 결정한 추가적인 이유가 됐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과 AFP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의 고위 관리도 기자들에게 북측이 싱가포르에서의 사전접촉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북한이 미국과의 직접소통을 끊는 등 약속을 위반했다면서 이는 “심각한 신의성실 부족을 말해준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회담의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측면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구체적으로 보면 북한으로부터 ‘최단시간 내에 비핵화를 완성하겠다’는 명확한 신호를 받지 못하자 결국 판을 깨는 선택을 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요구해왔고, 일괄타결 방식의 신속한 비핵화 로드맵을 최대한 빨리 끝내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이에 대해 북한은 단계적·동시적 비핵화를 주장해왔다. 김계관 제1부상이 미국의 ‘일방적 핵포기 강요’에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며 ‘회담 재고’를 위협한 것도 이 같은 방식을 관철하려는 의도로 풀이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회담 연기 가능성을 거론, 기류 변화를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일괄타결이 좋다”면서도 “그렇게 되어야 할까”라고 반문한 뒤 “나는 완전히 확언하고 싶지 않다”고 언급, 기본적으로 일괄타결의 틀 내에서 비핵화를 추진하면서도 일부 탄력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하는 언급을 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북한이 선제적 핵포기에 반발하면서 회담 개최를 지속해서 위협하는 태도를 이어가자 전격적으로 판을 깬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미국은 북미회담의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봤다”면서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 회담 취소 배경으로 작용했음을 숨기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싱가포르 회담을 취소하면서도 “언젠가는 당신을 만나길 고대한다”면서 “이 가장 중요한 회담과 관련해 마음을 바꾸게 된다면 주저 말고 전화하거나 편지해달라”고 밝혀 일정 시점이 지난 뒤 북미가 다시 회담 개최를 모색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