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문제와 관련, 울산에서 만큼은 중국이나 국내 인근 대도시에서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만을 탓해서는 안될 것 같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 최성득 교수팀의 연구결과 때문이다. 한마디로 울산의 경우 계절과 상관없이 연중 미세먼지에 함유된 독성물질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량과 직결돼 있다는 것이다. 즉 울산의 국가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대기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거쳐 미세먼지로 변하는 양이 무시할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또 선박 연료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상당량도 해풍을 타고 울산 시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울산의 자체 오염물질 배출을 관리하지 않고서는 지역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우는 연구결과가 아닐 수 없다. 산업수도 울산의 특성을 감안한 집중적인 미세먼지 연구를 통해 제대로 된 대책이 나왔으면 한다.

최 교수팀은 울산시 울주군 UNIST 캠퍼스에서 채취한 대기 시료로 울산지역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농도와 비율을 분석,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여름철에도 울산지역 PAHs 농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PAHs는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나오는 독성물질로 미세먼지에 함유돼 있다. 연구에 따르면 울산지역에서 겨울(1~2월)과 봄(3~5월)의 PAHs 농도와 입자상 비율이 모두 증가했다. 이는 중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먼지를 구성하는 독성물질도 늘었기 때문이다. 여름(6~8월)에는 전체 미세먼지 양이 줄었다. 그러나 PAHs 농도는 미세먼지 양만큼 줄지 않았다. 울산 동쪽에 있는 국가산업단지와 주요 도로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해풍을 타고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PAHs 농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최 교수는 “전체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도 그 안에 어떤 독성물질이 있느냐에 따라 인체 위해도가 달라진다”며 “따라서 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하는 연구는 필요하며, 이번에는 대표적인 독성물질인 PAHs를 다뤘다”고 설명했다.

울산형 미세먼지 대책마련의 시급성을 보여주고 있다. 울산시가 전문 연구기관과 협력해 산업미세먼지를 줄이는 기술개발에 나서기로 한 것도 그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석유화학공단과 비철금속 공단이 있는 울산으로서는 산업미세먼지를 줄이지 않고서는 재난수준의 미세먼지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내친 김에 구상단계에 머물고 있는 산업미세먼지저감기술센터 건립부터 구체화하는 작업에 돌입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