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변영재 교수팀

전파 통과하는 특정무늬 새겨

중계기 없이도 휴대전화 작동

엘리베이터를 타고 휴대전화로 통화를 하다 보면 종종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통신에 필요한 전파를 금속이 가로막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에 중계기를 달아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특정무늬를 새기면 금속도 전파를 통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돼 앞으로는 더 간편한 방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UNIST(총장 정무영)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변영재(사진) 교수팀이 ‘평면에 무늬를 새겨 넣는 것만으로 금속 통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금속에 전파를 통과시키는 ‘전자기 유도 투과’의 새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자기 유도 투과는 물질을 이루는 원자에 빛(전파 포함)을 쏘거나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줘서, 특정 파장을 통과시키는 걸 말한다.

하지만 금속 통신을 위해 전자기 유도 투과 기술을 쓰기는 어려웠다. 이 기술이 제대로 구현되려면 극저온 환경이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고강도 광학 펌프 같은 정교한 장치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변 교수팀은 극저온 환경이나 복잡한 장치 없이도 전자기 유도 투과가 가능한 방법을 찾아냈다.

절연체 위에 ‘직사각형 속 사인곡선이 반복되는 무늬’를 새기자 특정 주파수의 전파가 금속을 통과하는 걸 발견했다. 무늬의 크기나 배치를 바꾸면 통과하는 주파수 범위도 조절할 수 있었다.

직사각형 속에 만들어진 사인곡선 무늬는 전파를 잠깐 동안 잡아두게 되는데, 이때 에너지가 모이면서 금속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무늬의 크기나 형태를 달리할 때마다 투과시키는 파장이 달라진다는 것도 이번 연구에서 밝혀졌다.

연구결과는 미국물리협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 최신호에 실렸다.

김봉출기자 kbc78@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