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발생량 해마다 증가
(중)폐기물 처리 어려움에 산업계 아우성

지역내 매립시설 포화 상태
비싼값 감수하고 타지 계약
운반비까지 더해 기업 부담
일부 폐기물은 반입 거부도

울산지역 기업들이 산업폐기물을 처리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은 울산에서는 이제 더이상 폐기물 처리를 할 곳이 없어 비용이 몇곱절이나 비싼 타지역으로 처리업체를 찾아 다녀야 한다는 점이다. 울산 뿐아니라 타 지자체들도 사정이 비슷해 쉽게 받아주지 않을 뿐더러 일부 폐기물은 퇴짜를 맞기 일쑤다. 여기에 폐기물 발생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다 처리비용 또한 매년 상승하고 있어 기업체들의 업종경기 외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 울산지역 기업들이 산업폐기물을 처리하지 못해 타 지역으로 처리업체를 찾아 다니는 등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 사진은 매립 한계치에 도달한 울산시 울주군 온산공단 내 위치한 한 산업폐기물 매립장.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기업체들 ‘처리업체 찾아 삼만리’

울산지역 비철금속제련업체인 A사는 2년전부터 울산이 아닌 창원과 포항지역의 업체에서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울산지역 폐기물업체들이 매립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더 이상 받을 수 없다고 통보했기 때문이다. 연간 8만t 가량의 산업폐기물이 발생하는 A사는 울산지역에서 폐기물 다량배출사업장 중 한 곳이다.

회사 관계자는 “처음에는 구미지역까지도 고려했을만큼 마땅한 처리업체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문제는 1~2년 단위로 계약이 이뤄지는데 처리비용 증가는 차치하더라도 계속 계약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걱정이다”고 말했다.

온산공단의 또 다른 비철금속기업도 얼마전 울산지역 처리업체로부터 더 이상 반입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 회사는 부랴부랴 수소문 끝에 최근 부산과 경주의 업체와 간신히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관계자는 “작년 연말 계약을 갱신하면서 40% 가량 올랐는데 이번에 새롭게 계약을 체결하면서 또다시 30% 가량 올랐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울산석유화학공단의 유화업체 B사도 울산지역의 업체와 계약을 맺고 처리해왔는데 이달 계약이 종료돼 새로운 업체를 구해야 하는 실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우선은 울산과 가까운 경주나 포항, 창원쪽으로 알아보고 있는데 안되면 전라도쪽이라도 갈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푸념했다.

이처럼 울산외 지역이라도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소규모 기업들은 기본 계약물량이 적어서 계약을 못하거나 유기성 오니나 황화철, 폐촉매 등을 폐기물을 배출하는 기업들은 반입 자체를 거절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알려져 있다.
 

▲ 온산국가산업단지 전경. 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처리비용 매년 상승…기업 부담

온산공단의 유화업체 C사는 최근 처리업체로부터 유기성 오니에서 악취가 심하다며 유기성 오니의 경우 반입거부 통보를 받았다. 이 회사는 지난 3월에 폐수오니(월 약 100t 발생)를 t당 25만원의 단가로 계약을 했으나 업체측이 인상을 요구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폐기물 처리비용도 최근 몇 년새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공급(처리시설)은 한정돼 있는 반면 수요는 늘면서 매립 단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것이다. 매립단가는 지난해까지 t당 3만5000~5만원선에서 올해는 t당 5만~12만원으로 배 이상 크게 올랐고, 계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온산공단의 화학기업 D사는 폐보온재(월 5t가량 발생)를 현재 t당 32만원에 처리하고 있으나 업체측에서 70만원으로 두배 이상 요구하고 있어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인상이 불가피해 속앓이를 하고 있다. 또 제지업체 E사는 최근 재계약하면서 폐수오니 처리단가를 t당 8만원에서 13만원에 62%나 인상한 금액에 울며겨자먹기식으로 계약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울산이 아닌 경주, 포항, 양산 등 타 지역으로 가게 되면 운반비용도 추가된다. 울산지역내 운반비용은 t당 5000~1만5000원이나 타지역 이동시 2만~4만원으로 4~5배 가량 더 든다. 이는 고스란히 기업체들의 제조원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지역 산업계 관계자는 “폐기물 위탁처리시 재계약 주기가 과거에는 1~2년 단위였다면 현재는 3~6개월로 짧아지면서 단가 인상도 수시로 이뤄져 기업들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매립시설 부족으로 수요자(발생자) 중심에서 공급자(처리업체) 중심으로 폐기물 처리시장이 바뀜에 따라 처리업체들이 반입거부는 물론 선별 또는 제한적으로 받아 악성 폐기물이나 소량발생 폐기물 등의 처리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