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개방 관련

울발연, 대응책 마련 제언

울산시민의 ‘식수권’과 직결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발전연구원이 창원, 김해, 양산 등 낙동강 수계 지자체들이 ‘공동 협의회’를 구성해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윤영배 울발연 박사는 6일 울산도시환경브리프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부산시의 역점사업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을 복원해 낙동강하구의 생태계를 살려 관광자원화하겠다는 취지다.

환경부는 내년 상반기에 낙동강하굿둑의 수문 일부를 시범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문제는 바닷물이 강으로 흘러들면서 일어나는 낙동강물의 염분피해다.

하굿둑 완전개방시 염분피해는 울산시가 낙동강 물을 끌어 쓰는 원동취수장(27㎞)을 넘어 33㎞ 지점까지 확산된다.

울산시는 원동취수장에서 연평균 1일 최대 100만t 정도 취수해 생활용수 30만t 정도, 공업용수 70만t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염분이 유입되면 120만 시민의 식수와 울산국가 공업단지의 공업용수에 치명적이다.

농업용수로 쓰는 농민들에게도 타격이다.

울산시는 정부의 정책은 인정하되, 염분 확산 범위가 10㎞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염분피해는 낙동강 수계인 경남권 지자체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윤 박사는 염분 피해 지자체들이 연대한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윤 박사는 “부산시는 1차적으로 하굿둑으로부터 약 10㎞ 지점까지 기수역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하굿둑 완전 개방을 염두에 두고 있으므로, 염수 유입 영향범위에 생활·공업·농업용수 취수원을 두고 있는 지자체의 공동 대응을 위한 협의회 구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하굿둑 개방에 대비한 단계적 대응방안 및 환류체계 마련 필요하다”며 “울산시를 비롯한 경남권 지자체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고 철저한 대응방안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개방에 대한 단계별 준비로 윤 박사는 △수문개방 시범운영 시 실증실험 데이터의 지자체협의회 확인 △원동취수장 하류지점의 단계별 염수 유입 관측시스템 설치 및 모니터링 데이터 공유 △식수 피해 및 공장 피해에 대한 보상방안 요구 △장기적 대책으로 생활용수 취수원 추가 요구 및 공업용수 취수원 상류 이전 요구 등을 제안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