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하굿둑 개방을 앞두고 각 지자체간의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울산을 비롯해 낙동강 물을 이용하는 각 지자체들은 그 동안에도 염분 때문에 고심해왔다. 염분이 섞인 물이 울산으로 유입된다는 것은 울산시민들의 삶의 질과 직결돼 있을 뿐 아니라 울산의 농지와 공장에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농통합도시이자 국내 최대의 산업도시인 울산은 낙동강하굿둑 개방에 대비할 지자체간 협의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명분이 있다.

낙동강하굿둑은 지난 1987년 만들어진 2400m의 댐 형식의 둑이다. 이 둑은 낙동강 하구 지역에 생활·농업·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김해평야 등 농업지역에 염해를 방지하며,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낙동강 하류에 녹조가 발생하고 재첩, 장어 등 어류들이 둑 때문에 상류로 올라가지 못하는 생태 단절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부산시와 부산지역 국회의원들은 낙동강하굿둑 개방을 위한 운동을 벌였고, 환경부는 지난 2013년과 2014년 2차례에 걸쳐 연구용역을 실시해 하굿둑 개방을 통한 생태복원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현재 하굿둑 운영 개선과 생태복원을 위한 3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하고 있다.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울산으로서는 자칫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선제적인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수문을 어디까지 열지 아직 결정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완전 개방을 전제로 대비를 해야 울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만일 염분 피해가 광범위하게 발생할 경우 울산지역 기업체들로서는 공업용수를 정수하는 담수화설비를 자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농가는 새로운 수원을 개발해야 하는 엄청난 부담을 안을 수도 있다.

물론 환경부는 하굿둑의 수위를 너무 낮추면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부산지역 정치권이 인근 지자체의 피해 우려에도 불구하고 수문을 과도하게 낮춰 부산시 관광자원화사업과 연계하려 한다면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울산시는 차제에 다른 지지체와 연대해 하굿둑 개방에 따른 식수 피해 보상과 공장 피해 보상, 낙동강 취수원 이전, 울산지역 생활용수 확보방안 요구 등을 위한 준비를 지금부터 차질없이 해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