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안전해졌다. 행정안전부가 전국 228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도 진단 결과에 따르면 울산시 기초지자체가 지난해보다 월등하게 안전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동·북구가 1등급을 차지했고 울주군은 3등급, 중구는 6등급으로 평가됐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일취월장이다. 지난해엔 남구 10등급, 동·북구는 9등급 등으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도시의 안전도가 향상된 것은 그만큼 주민들의 삶의 질이 좋아졌다는 것을 말해준다.

지역안전도는 자연재해위험에 대해 지역별로 안전도를 진단하는 것이다. 각 지자체의 자주적 방재역량을 높이기 위해 행정안전부가 매년 10월 지자체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다. 통계적 수치를 살피는 서면진단 14개 지표와 예방대책·시설정비 등 현지진단 41개지표 결과를 지수로 환산한 후 1~10등급을 부여한다. 자자체가 지역안전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느냐를 측정하는 바로미터인 셈이다.

울산은 근래 30여년 동안 자연재해가 거의 없었다. 그 때문에 울산시 등의 행정기관은 물론 시민들조차 재해 없는 안전한 도시로 인식해왔다. 그런데 2016년 울산해역에서 5.0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인근 도시 경주와 포항의 지진 여파를 경험하면서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진데다 2016년 태풍 차바의 피해를 심각하게 겪으면서 위험한 도시로 급변했다. 아울러 재해대책의 한계도 그대로 노출됐다. 지난해 지역안전도가 9~10등급이었던 것이 그것을 잘 설명해준다. 산업도시로서 공단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에 민감했던 것과는 달리 수십년간 자연재해가 없었던만큼 ‘복 받은 도시’라고 자부하면서 자연재해 위험 대비는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한해만에 놀라운 성과를 이루었다. 분야별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풍수해 대비 각종 시설물 정비와 국가 예산확보 등 방재대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 결과이다. 특히 울산시가 지난해부터 ‘울산형지진방재대책’ 구축에 나서 올해말 완료를 앞두고 있다. 지진방재에는 그 어느 도시보다 확고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평가에서 중구와 울주군이 남·동·북구에 못 미치는 3등급과 6등급을 받은 것은 아마도 차바를 겪은 이후 풍수해 대비책을 아직도 확실하게 강구하지 못한 탓으로 추정된다. 원인 규명을 두고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논란을 벗어나 앞으로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대책마련에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안전은 정주여건 향상에 있어 가장 기본요건이다. 내년에는 울산시 5개 구·군 모두 1등급을 받을 수 있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