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앞두고 울산을 흔들만한 2가지 뉴스가 동시에 터져나왔다. 하나는 지난 1월31일 있었던 광주형 일자리 타결 소식이고, 또 하나는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소식이다. 울산 3대 주력업종 가운데 조선과 자동차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다.

임단협 2차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목전에 뒀던 현대중공업은 지난 1일 중앙쟁대위 소식지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의 인수는 ‘대 조합원 사기극’이라면서 인수합병 전면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현대자동차는 광주형 일자리 타결로 고용불안 및 자동차산업 공멸이 우려된다면서 설 직후 광주형 일자리 관련 특별고용안정위원회 소집을 요청했다.

두 회사 노조는 총파업 등 강력한 투쟁을 예고했다. 광주형 일자리와 대우조선해양 인수는 국민들에게 그리고 울산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었지만 이들 회사 노조에게는 또 한번 넘어야 할 큰 회오리로 여겨지고 있다.

울산 발전의 향방을 가늠케하는 이 두가지 사안은 울산의 문제를 넘어 우리나라 조선, 자동차 산업의 대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광주형 일자리 협약식에 참가한 것은 앞으로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가 잇따라 나타날 것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최근 기자들에게 “광주형 일자리의 일반 모델화에 관심이 있다”면서 “지역상생 일자리 모델의 가이드라인이 2월 말에 나오면 이름을 정식으로 지은 뒤 상반기에 지자체 2~3곳에 적용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노조의 할 일은 조합원의 이익과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노조도 대우조선해양 인수 전면 재검토와 광주형 일자리 타결 반발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회오리에 말려들지 않을 수 없는 입장에 처해 있다. 노조원의 이익을 대변하는 노조는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한다. 그러나 노조의 시각과 울산시민의 시각은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시점에 울산 산업을 거시적으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광주형 일자리와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는 울산 산업의 양대 주축에 중요한 변곡점이 왔다는 것을 말해준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국내 산업의 지형이 어떻게 바뀌고, 그 지형도 위에 울산의 위치가 어딘지 좌표를 분명하게 찍어야 한다. 그리고 울산시민들에게 시시각각 변화하는 울산 산업의 현황을 알려주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전국적으로 군산형, 구미형, 거제형 일자리 같은 용어가 연일 터져나오고 있는 와중에 문재인 대통령 쪽만 바라보고 있다가는 모든 기회를 잃고 만다.

스스로 자생력을 키우면서 정부에 요구할 건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공격적인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