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의 동쪽 먼바다는 대륙붕이 형성돼 있어 부유식해상풍력발전단지의 적지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수심 50m이하의 얕은 바다는 고정식 풍력발전기 설치에 유리한 반면 깊은 바다에는 부유식을 설치할 수 있는데, 너무 깊은 바다는 해저케이블 비용이 많이 들고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울산 동쪽 먼바다처럼 수심 50~200m가 적절하다는 것이다.

울산시는 18일 부유식해상풍력 지원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1조원을 투입해 실증연구센터, 감시제어 및 데이터수집센터(SCADA), 핵심부품 성능평가센터, 실해역테스트베드, 12MW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배후산업단지, 전용항만과 도크, 전용선단 구축과 설치선 및 해양지원선, Operating & Management 지원센터, 특성화전문대학, 풍력기 날개 등 테스트 시설, 해상변전소와 계통연계망 등 11개 시설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울산발전연구원과 울산테크노파크, 에너지경제연구원, 울산항만공사 등 각계 전문가들이 모여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오는 12월 최종 계획을 내놓을 것이라고 한다.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은 장점이 많다. 도심을 둘러싸고 있는 산지 등에 설치한 풍력발전기가 환경훼손과 민원 발생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반면 먼바다에 설치가능한 부유식은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다소 자유롭다. 어민들의 반발이 없지는 않으나 이미 실행 중인 일본 등지에서는 오히려 어업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문제는 경제성에 대한 의구심이다. 먼바다는 바람이 풍부하기 때문에 가까운 바다나 산지에 비해서는 경제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객관적 현실적 경제성에 대한 검증은 계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대목이다. 거액의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정확한 예측이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울산시의 목표는 민·관 자금 6조원을 들여 2023년까지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1기가와트 발전용량의 부유식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다. 불과 4년 뒤의 일이다. 성장정체에 직면한 울산의 신성장동력 발굴이나 국가에너지정책의 전환에 따른 친환경에너지 발굴이 시급한 일이기는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시도하는 일이므로 너무 많은 인프라를 한꺼번에 조성하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다. ‘돌다리도 두들겨 가며 건너라’고 했듯 서두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다양한 지원클러스트 가운데도 분명 우선순위가 있을 것이다. 엄중한 검증에 따른 순차적 시행으로 최대한 리스크를 줄일 필요가 있다. 여러 기관과 단체가 참여하는만큼 자칫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우선순위가 뒤바뀌는 일이 생길까 공연히 걱정돼서 하는 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