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흥망은 인구에 의해 좌우된다. 그런데 울산은 갈수록 인구가 줄어들어 도시의 성장 잠재력까지 위태로운 지경이다.

울산은 지난 1997년 대망의 광역시 승격을 맞아 인구 101만3070명으로 스타트를 끊었다. 이후 울산 인구는 계속 늘어나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그 다음달부터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 117만2276명까지 내려 앉았다.

한번 감소세를 타면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 인구의 속성이다. 세계적으로도 저출산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지만 불과 3년만에 2만명도 넘는 인구가 울산을 빠져 나갔다는 것은 심각한 수준이다.

울산은 다른 도시 보다 인구가 대거 빠져나갈 위험이 매우 높은 도시다. 이미 현대중공업이 물적분할을 통해 중간지주회사의 본사를 서울로 올려 보낼 계획인데다 현대자동차마저 전기차와 수소차 등 내연기관이 없는 차를 만들 예정이어서 근로자들의 울산 이탈현상은 불을 보듯 훤하다.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는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자동차 협력업체들은 울산을 떠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일 것이다. 근로자가 떠나면 가족을 당연히 함께 떠날 것이다.

울산시는 조선산업의 안정화를 비롯해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등 울산의 신성장 동력 사업이 본격화되면 인구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인구 유인책에 대해 동의하는 전문가들은 거의 전무하다. 이미 범국가적인 저출산·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마당에 울산의 장밋빛 미래를 그리는 것 자체가 인구정책을 포기하는 것과 같은 말로 들린다.

울산의 인구는 자연적인 증감 보다는 사회적인 증감에 기인한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인구정책도 중요하지만 울산이라는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별 인구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의 문화·환경, 산업구조 등을 전략적으로 인구와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또 울산의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시켜 새로운 4차산업을 일으켜야 비로소 인구가 울산으로 유입될 수 있다.

울산발전연구원 정현욱 박사는 “인구의 양적 증가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울주군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6차 산업을 활성화하고 귀농귀촌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제조업체 근로자들은 필연적으로 감소될 수밖에 없는 시대적인 전환기에 놓여 있다. 그렇다면 4차산업으로 인해 인구가 줄어든 만큼 4차산업, 또는 6차산업으로 인구를 유입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인근 기장군의 인구는 지난 2007년 8만명에서 현재 16만5024명으로 두배나 늘었다. 양산시는 지난 2007년 23만명이 현재 34만9925명으로 증가했다. 울산의 인구를 방치하면 잘못하면 ‘폭망’하는 수가 있다는 것을 울산의 위정자들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