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매출 상위 132개 상장사
정관 목적사업 변동 분석
교육서비스·전자상거래 등 최다
대부분 3차산업혁명시대 머물러

국내 주요 상장사 가운데 최근 10년간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관련 사업에 뛰어든 곳이 1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상위 300대 기업 중 코스피에 상장된 132개 업체(금융 제외)의 2008~2018년 정관 목적 사업 변동을 조사한 결과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목적을 추가한 기업은 20곳이었다.

7곳 가운데 1곳 정도만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사업화해서 정관에 목적으로 추가한 셈이다.

한경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율주행, 무인항공기(드론)를 추가한 기업이 많았지만 핀테크, 3D프린팅, 블록체인 관련은 없었다.

1개사가 2개 이상을 추가한 경우는 있었다. 기업들이 업종과 무관하게 정관에 많이 추가한 사업은 교육서비스, 전자상거래, 신재생에너지 등이다.

한경연은 “기업 대다수가 아직 3차 산업혁명 시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교육서비스를 목적에 추가한 경우 직무교육이나 사내에 한정된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외부로 확장해서 수익을 창출한 사례가 있었다.

교육서비스업을 반영한 기업은 2008년 17.4%에서 2018년 40.9%로 늘었다.

업종별로 IT전기전자, 건설·건자재 업종은 모두 추가했고, 상사(60%)와 생활용품업(58.3%), 서비스업(50%), 석유화학업종(50%) 등은 절반 이상이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넣었다.

전자상거래는 물류와 금융 변화에 영향을 받는 유통업 10개사와 네이버, SK, 카카오, 삼성SDS 등 IT서비스업종 4개사가 모두 정관에 올렸다.

신재생에너지는 건설업과 에너지기업 등 사업 연관성이 높은 업종에서 주로 반영했다.

조사대상 기업들의 지난해 평균 목적사업 수는 38건으로, 10년 전(25건)보다 52% 증가했다. 통신(158.3%), 에너지(144.4%), 철강(109.1)업의 목적사업이 크게 늘었다.

한경연은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사업 진출이나 신재생에너지로 사업 확대, 업황 부진을 넘기 위한 신사업 진출 등이 주요 배경이라고 풀이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