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비중 소비재 10.6% 중간재 71.5%
글로벌 경기변동에 민감·연쇄적 영향
소비재 수출 확대로 리스크 분산해야

우리나라가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수출에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중간재 수출 비중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따라 화장품, 자동차 등 소비재 수출을 늘려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3일 발표한 ‘세계 소비재 시장 잠재력 분석 및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 중 소비재의 비중은 10.6%로 중국(25.7%), 독일(25.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중간재는 71.5%로 중국(43.8%), 독일(46.4%), 미국(48.2%), 일본(51.5%)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보고서는 “중간재는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할 뿐더러 가공절차상 최종재 수요 변화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한국-중국-미국으로 이어지는 글로벌가치사슬(GVC)을 약화시켜 대(對)중국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처럼, 중간재 수출비중이 높은 한국은 3국간 통상분쟁에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이어 “중간재와 달리 소비재는 경기 방어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수출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우리 소비재 수출은 비중뿐 아니라 금액도 2014년 이후 4년 연속 줄고 있어 문제”라면서 “경기 변동에 따른 수출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서라도 소비재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중산층 인구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신흥국을 대상으로 한 소비재 수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전 세계 소비재 수입액 총 규모 자체는 성장세가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연평균 수입액 증가율이 중국 5.9%,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7.2%, 중부유럽 9.6% 등으로 주요 신흥국의 소비재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 자체가 높지는 않으나 2000년대부터 세계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대 소비재 시장인 미국에서의 부진과 2017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에 따른 대중국 수출 타격으로 소비재 수출이 4년 연속 감소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보면 2018년 기준 소비재 수출의 59.4%를 차지하는 승용차 수출이 해외 생산 확대에 따라 최근 3년간 연평균 2.9% 줄어들고 있어 전체 소비재 수출의 감소세를 이끌었다.

반면 화장품은 연평균 26.3%씩 성장하며 한국의 대표 소비재 수출품목으로 자리매김했다.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중국의 소비재 시장은 중국 내 생산기지 이전과 수요의 프리미엄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에서 중국 시장 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나머지 품목에서는 유럽을 필두로 한 선진국과 아세안에 밀려 중국 시장 내 점유율이 2000년대 5% 이상에서 2018년 3.1%까지 하락했다.

국제무역연구원 이유진 연구원은 “중국, 아세안, 인도, 중부유럽 등 소비재 수입이 꾸준히 늘고 있는 신흥국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하되 고급 소비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