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비공개로 대상지 심사
시, UNIST 특구 핵심기관으로 선정
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 1·2단계 조성
친환경에너지 등 3대산업 요충지 목표
울발연에 특구 유치 논리 강화 제안
특구 지정 늦어도 6월 내 결정 전망

과학기술 기반의 ‘울산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 심사가 정부의 현장실사를 시작으로 본격화됐다. UNIST와 손을 잡고 친환경에너지, 바이오헬스케어, 스마트 기계·부품 등 3대 산업의 전략적 요충지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는 울산시는 논리개발 등 대응력 강화에 온 힘을 다하고 있다.

16일 울산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위원들은 이날 오후 비공개로 강소형 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대상지를 1차 실사했다. 강소형 연구개발특구는 좁은 면적에 과학기술 기반의 자생·자족적인 지역 혁신기반을 구축하고자 도입된 새로운 연구개발(R&D) 특구 모형이다. 기존 연구개발특구는 ‘연구소 40개, 대학 3개 이상’ 등의 요건을 갖춰야만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신청할 수 있었으나, 강소특구는 지역 혁신역량을 갖춘 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기술 핵심기관 중심으로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전국 총 20㎢ 범위에 면적 2㎢ 이내의 소규모·고밀도 연구단지 10개 이상을 새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울산시는 지난해 강소 연구개발 특구 신청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했다. 시는 특구 핵심기관으로 UNIST를 선정했고, 위치는 울산 하이테크밸리(High Tech Valley) 일반산업단지 1·2단계로 선정했다. 공영개발 방식의 하이테크밸리 산단은 올해까지 총 1808억원을 들여 206만2000㎡의 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1단계 22만7000㎡, 2단계 58만3000㎡, 3단계 125만2000㎡ 나눠 순차적으로 개발된다. 시가 울산형 혁신특구에 적용할 산업은 친환경에너지, 바이오헬스케어, 스마트 기계·부품 등 3개 분야이다. 친환경에너지 분야에는 수소에너지, 태양에너지, 이차전지, 해수전지 등 주를 이룬다.

바이오헬스케어 분야는 게놈(Genome)이 핵심을 이룬다. 게놈은 미래 헬스케어 산업 근간이 되는 정보다. 개인 유전자 정보를 풀어서 타고난 유전적 요인을 알아내면 미리 질병에 대처할 수 있다.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메디컬산업’ 허브도시 육성이 목적이다. 스마트 기계·부품 분야는 스마트센서, 친환경 자동차 부품, 탄소물질 복합소재 등 획기적인 기술력을 적용해 주력산업의 성장 모멘텀을 유도한다. 강소특구로 지정되면 특구 내 연구소기업·첨단기술기업 세제 감면, 인프라 구축과 기술사업화 사업비 국비 지원, 특구 개발사업 각종 부담금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이날 UNIST와 하이테크밸리 1·2단계를 살펴보고, 울산시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현장실사는 특구 지정 심사가 본격 들어간 것을 의미한다. 특구 지정은 늦어도 오는 6월 결정날 전망이다.

울산시는 대응 논리 강화 보완을 위해 울산발전연구원에 ‘울산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 대응’을 연구과제로 제안한 상태다. 과제 수행기간은 오는 3월까지로, 특구 지정 심사에 필요한 각종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주요 내용은 △특구 유치의 충분성(울산시의 노력 등) △유치 타당성 분석(사회간접자본시설 구축 등) △배후공간 설정 타당성 및 활용계획의 적정성 △기술핵심기관 역량 분석 등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내 R&D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신기술과 신산업 육성을 위해 강소연구개발특구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행정력을 결집해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