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 기획전 ‘신라의 해문, 울산 반구동’ 24일 개막
해상 실크로드의 기착지 증명 유물 200여점 3부 걸쳐 전시

▲ 기와.

울산박물관(관장 신형석)은 우리나라 대외교류사에서 울산이 차지하는 위상을 조명하기 위해 ‘신라의 해문(海門), 울산 반구동’ 특별기획전을 24일 오후 2시에 개막한다.

올해 울산박물관 제3차 특별기획전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에서는 울산 반구동 유적 발굴조사 성과를 토대로 울산이 신라의 해문(海門) 역할을 했던 지역임을 조명하고자 기획됐다.

▲ 토기.

‘해문(海門)’은 나라와 나라 사이 해로를 이용한 교섭과 교류가 이루어질 때 마지막 기착지를 의미한다. 울산은 신라 왕경인 경주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고, 평지로 연결되어 있어 이용하기 편리했다. 또 울산만(灣)은 파도가 약하고 수심이 깊어 큰 배가 드나들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신라의 외항이자 해상 실크로드(Silk Road)의 기착지 역할을 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대 울산항과 바닷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20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된다.

▲ 중국자기.

제1부 ‘기록 속 신라 항구를 찾다’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된 울산지역 항구인 율포(栗浦)와 사포(絲浦), 그리고 개운포(開雲浦) 등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그리고 ‘반구동 유적(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 303번지 일원)’이 신라의 국제항인 ‘사포’로 비정되는 배경에 대해 조명한다.

제2부 ‘신라의 해문(海門), 반구동’에서는 신라의 해문으로 역할을 했던 반구동 유적에 대해 소개한다. 이 유적은 2차례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1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서 ‘반구동 토성지’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06년 1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울산연구원 문화재센터가 조사하였다. 울산연구원의 조사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 7기, 통일신라시대의 목책, 토성, 우물, 도로유구, 경작유구, 수혈유구, 주혈, 굴립주 건물지, 구(構), 암거시설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건물지 12기, 조선시대 구 등 다양한 유구에서 총 1424점의 유물이 조사되었다.

▲ 개원통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자연 암반을 가공하여 건물의 기둥을 받치는 초석(楚石)으로 삼은 독특한 구조의 건물과 이열목책(二列木柵)과 최대 지름이 70cm에 달하는 목주로 세운 망루의 존재, 암거시설에서 확인되는 둔태석(屯太石) 등은 반구동 유적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전시실에는 반구동 사람들의 생활과 의례, 그리고 관청의 모습을 보여주는 토기, 기와, 목간 등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된다.

▲ 울산박물관은 우리나라 대외교류사에서 울산이 차지하는 위상을 조명하기 위해 ‘신라의 해문(海門), 울산 반구동’ 특별기획전을 24일 오후 2시에 개막한다. 사진은 울산 반구동 유적 발굴조사에서 나온 망루. 울산연구원 문화재센터 제공

제3부 ‘해상 실크로드와 반구동’에서는 고대 동서의 무역로이자 동·서 문화의 통로 역할을 한 실크로드의 기착지였던 울산항을 오고갔던 당, 왜(일본), 서역과의 교류에 대해 살펴본다.

당나라는 한자·유교·중국화한 불교·율령 등을 공통 요소로 하는 동아시아 세계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제 관계를 주도하였다. 신라는 당으로부터 신문물을 받아들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 양식으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전시에서는 당의 주요 수입품인 반구동 유적에서 출토된 당대 도자기와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경주지역에서 확인되는 당나라 도자기를 함께 전시한다. 이 외에 반구동 유적의 주요 유물인 ‘개원통보(開元通寶)’(중국 당대 청동으로 만든 동전)도 전시된다.

왜(일본)에서는 두 나라 사이의 교류를 보여주는 쇼소인(正倉院·정창원) 소장의 신라 관련 유물을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서역과 관련해서는 그들이 신라를 직접 방문한 증거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처용설화와 원성왕릉 및 흥덕왕릉의 석상, 그리고 신라에 대한 서역의 기록들을 통해 신라와 서역 간 활발했던 교류를 알아본다.

전시의 마지막에서는 고려 건국 이후 국제항 울산만의 발자취에 대해 소개하고 ‘미래 울산항의 모습’ 영상과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역사 연표로 구성하였다.

신형석 울산박물관장은 “울산의 정체성을 구명하기 위한 전시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자 하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 신라의 해문(海門)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였던 울산의 위상과 역사에 대해 새롭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