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양현(사진) 마더스병원 내과 전문의

식도를 통과해 위장에 도착한 음식물은 위산에 의해 잘게 부서진 형태로 소장으로 넘어가 영양분으로 흡수된다. 이 과정에서 위장은 위산, 소화효소, 담즙, 복용한 약물, 알코올 등 세포를 손상시키는 공격인자에 노출된다. 위장에는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는 여러 단계의 방어인자가 있으나,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와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의 균형이 깨지면서 위장의 점막이 손상되기도 한다. 이를 ‘소화성 궤양’이라고 한다. 조양현(사진) 마더스병원 내과 전문의와 함께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본다.

주로 헬리코박터균에 점막 손상
명치 부위 통증·속쓰림 등 증상
약물·흡연·스트레스 등도 영향
악화되면 천공·협착·출혈 발생
흑색변 나타날땐 출혈위험 의심
꼭 내시경으로 응급처치 받아야

◇식후 통증과·속쓰림 반복땐 의심

소화성 궤양은 점막이 여러 자극에 의해 점막 하층까지 깊게 손상된 것을 말한다. 발생 위치에 따라 위 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으로 나눌 수 있다. 소화성 궤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헬리코박터균)라는 사람의 위에 기생하는 균이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 진통제, 소염제 및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밖에 흡연, 음주, 스트레스, 부적절한 식이나 불규칙한 식사도 소화성 궤양을 유발한다.

소화성 궤양의 증상으로는 명치 끝 부위 통증이나 속쓰림이 있고 소화불량, 오심, 구토, 식욕부진이 동반될 수 있다. 통증은 대개 식후 1~3시간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산의 분비가 많은 밤에 심한 통증을 느껴 잠에서 깨기도 하며, 음식을 먹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아주 심한 복통은 대개 일시적이며, 복부 불편감이 30분에서 2시간 정도 지속되기도 한다.

또 악화된 소화성 궤양에서는 천공, 협착,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조양현 마더스병원 내과 전문의는 “소화성 궤양 출혈은 혈액이 위 및 십이지장에서 발생한 후 대변으로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보통 색깔이 어둡게 변해 흑색변의 형태로 관찰된다. 이러한 출혈은 5~10%의 사망률을 보이는 중한 상태로 소화성 궤양 증상들과 흑색변이 동반된 경우라면 내시경을 통한 지혈술 등의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또 천공이나, 위 유문 협착, 십이지장 협착의 경우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위산분비 억제제 등 약물치료 가능

소화성 궤양은 상부위장관 조영술이나 내시경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내시경은 진단과 동시에 조직검사를 할 수 있어 조영술보다 더 유용하게 활용된다.

조 전문의는 “위암과 같은 악성 병변이 위궤양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어 반드시 조직검사를 통해 악성화 여부를 감별해야 한다.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이 발견되면 요소분해효소검사(CLO test)로 헬리코박터 균의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고 말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우리나라에서 50% 이상의 사람들에서 발견되며, 소화성 궤양 발생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조 전문의는 “헬리코박터를 치료하면 궤양의 재발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화성 궤양이 있는 경우 제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1차 제균약은 보통 1~2주 정도 복용하며, 복용 후 70~80%의 환자가 제균효과를 거둔다. 1차 제균약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2차 제균약으로 치료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위산분비 억제제, 점막 보호인자 증강제 등의 궤양에 대한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킬 수도 있다.

조 전문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라고 하는 위산 분비 억제제를 2~3개월정도 복용하면 대부분의 경우 호전된다. 하지만 흡연을 하고, 처방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위궤양의 악성화가 있는 경우는 치료가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 치료에는 금연과 규칙적인 약복용이 중요하고, 특히 위 궤양의 경우는 약물치료 후 궤양의 치료 및 악성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추적 내시경을 다시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화성 궤양은 발병 초기에는 약물치료만으로 비교적 쉽게 치료되는 질환이지만 치료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 합병증을 동반해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 내원해 내시경 검사를 받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