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의 교원 1인당 학생수가 초·중·고등학교보다 많다고 한다.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교원 1인당 학생수는 수도권 국·공립대만 평균 25명으로 초등학교보다 적을뿐 수도권 사립대는 39명, 지방 국·공립대는 35명, 지방 사립대는 45명이나 된다는 것이다. 이는 대학들이 학교 규모를 늘리기 위해 학생 정원은 확대하면서 전임교원은 늘리지 않고 부족 교원을 시간강사로 대체해 왔기 때문 아닌가. 교육시장 개방이 코앞에 다가온 마당에 대학들의 교육여건이 이같이 열악하다는 소식은 깊은 우려를 자아낸다.

 우리나라 대학, 특히 지방대의 위기론이 대두된지는 오래다. 대입 수험생 숫자가 대학 모집인원을 밑도는 현상이 이미 나타나 2003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전국 199개 4년제 대학과 156개 전문대 신입생 미충원 인원은 8만5천명이나 된다고 한다. 특히 지방 전문대 중에는 정원의 30%정도 밖에 채우지 못한 곳도 있다니 이러다간 얼마안가 문닫는 대학이 속출할 수도 있겠다. 1990년 124개였던 대학수가 2000년대에는 194개로 늘었으니 수요·공급 차원에서도 퇴출대학은 생길 수 밖에 없지 않을까. 그렇지 않아도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학과간 통·폐합, 대학간 M&A 등 대학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경영능력이 없는 대학은 문을 닫을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안을 내놓은 터다. 교육시장이 개방돼 외국대학들과도 경쟁해야 하는 시대에 전임교원 대신 시간강사로 떼우는 등 교육여건은 개선하지 않은채 학생정원이나 늘리려 드는 대학 운영으로 우리 대학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제야말로 대학들이 양의 교육에서 질의 교육으로 전환할 때다. 대학이 어떤곳인가. 연구를 통해 진리를 추구하고 교육을 통해 인간을 만들며 전문가적 훈련을 병행하여 사회에 봉사하는 일을 하는 학문의 전당 아닌가. 우수한 학생들이 학부과정에서부터 외국대학으로 빠져나가는 현실에서 대학들은 학생 유치 경쟁에만 열을 올릴 것이 아니라 내실을 다지는 일부터 해야 한다. 특정 학과에 중점을 두는 등 특성화·차별화 전략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교육당국도 늦은 감이 있지만 무차별 대학설립 및 학생증원을 억제하고 특히 교육여건이 크게 악화하고 있는 지방대 육성을 위해 특별지원을 하는 등 정책적 배려를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