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호석 아름다운울들병원 병원장

경추후종인대골화증은 목뼈를 연결하는 목뼈 뒤쪽 인대가 서서히 뼈처럼 딱딱해지고 두꺼워져서 목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다시 말하자면 허리의 척추관협착증과 유사한 현상이 목에서도 나타나는 셈이다. 그런데 워낙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상당히 두껍게 자랄 때까지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환자들은 자신의 병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있다가 운동 중 부상이나 교통사고 등으로 목을 다쳐 검사를 받다가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또 외상이 없더라도 스스로 증상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는 이미 병이 많이 진행된 상태가 대부분이다.

초기에는 목과 등 뒤로 전기가 오는듯한 짜릿한 통증과 뒷목의 뻣뻣함, 어깨 및 팔 저림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후 젓가락질과 단추 잠그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손가락 힘이 약해지고 감각도 둔해져서 손에 쥐고 있던 물건을 자기도 모르게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다. 또 다리 힘도 없어져서 비틀비틀 술취한 듯이 걷거나 게걸음처럼 걷는 등 정상적으로 걷기도 어렵게 된다. 이처럼 초기 증상이 중풍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검사를 받지 않은 환자들은 약이나 침, 물리치료 등의 보존치료만 받으며 계속 병을 키우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경추후종인대골화증은 목디스크탈출증보다 훨씬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목디스크는 부드러운 디스크가 목신경을 부드럽게 압박하는 상태이지만, 경추후종인대골화증은 딱딱한 인대가 목신경을 날카롭게 찌르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목신경에는 팔로 뻗어가는 신경뿐만 아니라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함께 있으며, 목신경이 손상받을 경우에는 팔과 다리가 모두 마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경압박이 오래되면 수술하여도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정밀한 영상검진을 통하여 경추후종인대골화증이 발견되면 환자의 상태 및 담당의사의 소견에 따라 예방적 차원에서 수술을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경추후종인대골화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1년에 1~4mm씩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서양에서는 거의 없고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발생하며, 40대 이후에 많이 발병하고, 남자가 여자보다 2~4배 정도 발병비율이 높다.

경추후종인대골화증에 대한 예방법은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평소 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으로 목 근육을 단련시키는 것이 목 건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엎드려서 책을 읽거나 높은 베개를 베거나 누워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등의 자세를 피하고 특히 습관적으로 목뼈에서 소리가 나도록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행동은 후종인대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갑자기 글쓰는데 힘이 없거나, 다리가 무거워 걷기가 어렵거나, 사지에 감각이 이상하고 움직이기 어렵다면 신속하게 척추전문의를 찾아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장호석 아름다운울들병원 병원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