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은 이 시대의 화두다. 예상밖의 자연재해가 빈발하는데다 초고속 성장에 따른 안전불감증의 폐해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도시를 막론하고 안전과 관련된 기구를 늘리고 제도를 만드느라 분주하다. 안전 관련 시설과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자치단체간의 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심각한 자연재해를 겪은 울산도 예외는 아니다. 수십년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지진과 수해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만큼 울산시도 2017년을 안전대개조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안전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지진방재도시 조성은 그 가운데 하나다. 울산시는 17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진방재 특화대학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진방재와 관련한 연구실적과 역량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무엇보다 절실하고 시급한 것이 인력양성이기 때문이다. 유니스트나 울산대학교가 지진방재 특화대학이 된다면 울산이 지진방재도시로 나아가는 든든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진방재 특화대학은 국민안전처가 지진종합대책의 하나로 내놓은 안이다. 공모를 통해 5곳의 대학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산시와 대학의 적극적인 협조로 반드시 특화대학 유치에 성공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방재와 관련한 울산시의 발걸음은 경북도와 부산시 등 인근 도시에 비해 너무 늦다. 경북도는 국책지진연구기관 유치에 나섰다. 부산시는 재난안전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을 수립했다. 울산시도 명실상부 지진방재도시가 되려면 특화대학 유치 성공만으로는 역부족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10월 경주에 지진방재연구원을 설립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규모 5.8의 경주지역 지진을 경험한 경북도가 지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책 연구원 설립을 요청하면서 한발 앞서 나갔다. 2021년까지 3000억원을 투입해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도시재난안전산업지원센터 구축 사업을 요청, 타당성 조사를 16일 통과했다고 한다. 2020년까지 동래구 수안동에 지상 7층, 연면적 6000㎡의 센터를 구축, 화재에 대비한 특수신발 생산부터 로봇과 정밀과학기기의 연구개발 등을 이끄는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울산 혁신도시에 이전한 공공기관 가운데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안전보건공단이 있다는 것이다. 안전보건공단 산하에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도 있다. 또 유니스트는 2013년부터 국내에서 유일한 방재특성화국립대학으로 지정돼 있다. 이들을 발전시키고 지진방재특화대학을 유치하면 학·연·관이 어우러져 방재분야 연구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를 산업으로 연결시킬 준비가 부족하다는 것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2021년 세계 재난안전산업시장 규모가 4940억달러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안전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대책이 함께 강구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