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 ‘마을공동체 만들기 기본계획’이 나왔다. 이 기본계획은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 조례’에 의하여 수립되는 것으로, 울산발전연구원이 지난 3월 착수했다. 마을공동체는 지연을 바탕으로 공통의 관심과 이해관계, 전통, 문화 등을 향유하는 가장 기초적인 커뮤니티다. 마을공동체를 잘 운영하면 전체 주민의 생활과 마을 수준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마을공동체간의 시너지 효과를 연쇄적으로 파급해 도시를 한단계 격상시킬 수 있다.

이번 용역의 21개 세부사업은 마을자원 육성, 찾아가는 마을학교 운영, 마을활동가 육성, 미래 마을보물 육성, 마을 컨설팅단 운영, 마을기업 육성, 주민동아리 육성, 돌봄커뮤니티 구축, 마을장터 개최, 공유부엌 커뮤니티 구축, 품앗이 공간 만들기(텃밭, 쌈지공원), 세대공감 한마당 개최, 마을축제 개최, 전통문화 체험하기, 마을계획단 운영, 우리마을 나눔터 만들기, 마을공동체지원센터 구축(광역 및 지역), 마을공동체 네트워크 구축,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구축, 마을공동체(사업) 홍보시스템 및 운영 등이다.

이 중 가장 중요하고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공동체 네트워크 구축이다. 그리고 디지털 기기의 활용과 커뮤니케이션 기술, 실생활에서의 정보 활용 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모든 것들이 선결되어야 비로소 다른 사업들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력과 예산은 이 부분에 집중적으로 지원돼야 한다. 또 마을공동체지원센터(광역 및 지역)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없이 각 지역별 주민자치센터의 공간을 활용하면 되고, 인력은 각 행정복지센터와 면사무소 등에서 우선 투입하면 된다. 이후 마을공동체 운영이 본궤도에 오르면 시스템을 서서히 분화시키면 된다.

특히 도심과 울주군 지역의 마을 성격이 다르고, 구성원들의 특성 또한 천차만별로 나뉘는 만큼 21개 사업들을 지역별로, 공동체의 성향별로 다시 순위를 매길 필요가 있다. 또 마을에 안 맞는 사업들은 과감하게 버리고 새로운 사업들을 구상해야 한다. 한번 정해놓은 사업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다 다른 사업을 못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울산발전연구원이 내놓은 ‘마을공동체 만들기 기본계획’은 단지 기본계획일 뿐이다. 앞으로 울산시는 이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하고 효율적인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실천해야 할 것이다. 마을공동체 만들기는 앞으로 울산의 토대가 되고 풀뿌리 주민자치의 튼튼한 버팀목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