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울산시청에서 열린 ‘자동차산업 미래전망과 고용변화 토론회’는 울산의 자동차산업 현주소를 가감없이 보여준 자리였다. 그 중에서 현대차 노조 4차산업연구위 윤선희 팀장이 발표한 현대차 고용과 관련한 내용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오는 2025년 내연기관차 생산 비중이 57.1% 줄면 엔진·변속기·소재사업부 인력이 현재 6341명에서 3618명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무려 2723명의 고용이 한번에 날아가 버린다는 말이다. 2030년이 되면 감소인원은 5222명으로 눈덩이처럼 커져 1119명만 남게 된다.

울산의 자동차 산업은 기로에 서 있다.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는 공장과 고용을 줄여야 하고, 울산은 도시를 계속 성장시키기 위해 어쨌든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그러나 이미 울산지역 자동차 산업의 공동화는 예정돼 있다. 그렇다면 대책은 있는가. 이날 토론자들은 대체적으로 불안한 미래를 토로했다. 이들은 ‘변화와 현실을 반영하는, 대립적 관계가 아닌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노사 공유가치를 만들어 가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맴돌았을 뿐 특별한 대책은 내놓을 수 없었다.

이 가운데서도 토론자로 나선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이상호 전문위원은 현대자동차와 관련해 뼈 아픈 지적을 했다. 이 위원은 “노사정으로 대표되는 주체들은 위기 상황에 둔감하고 황금기의 향수에 젖어 관성화되어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울산시는 양적 성장, 투자유치 등 ‘기업하기 좋은 나라’ 패러다임에 빠져 산업경제의 혁신전략이 부재한 도시가 됐다”고 했다.

울산은 그 동안 ‘부자도시’ ‘국내 최대의 산업도시’ ‘산업수도’라는 미명 아래 혁신과 미래전략을 등한시 해왔다. 울산시민들도 전기차 시대가 이렇게 빨리 오고 그 여파가 우리들의 생활에, 우리들의 일자리에 어느 정도 깊이 미칠지 몰랐다. 백승렬 어고노믹스 대표는 “자동차산업 변화는 가능성이 아닌 확정된 미래”라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했다.

시민들도 이제는 울산이 몰락할 수 있음을 다시 인식해야 한다. 부자도시 울산이 산업 공동화의 대표적인 도시로 전락하는 순간 울산은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길에 올라서게 될 것이다.

늦었지만 울산의 도시 생존을 위해서는 울산지역 모든 사회적 대화 통로를 총동원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시민들에게 울산 산업의 위기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려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이전과 다른 일자리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